[지금은 부모교육 시대] 비독서 시대, 왜 책을 읽어야 하는가(장은수)
작성일 : 2022.12.14
(지금은 부모교육 시대)
(비독서 시대, 왜 책을 읽어야 하는가)
(장은수 작가)
접근 приближение; подход; подступ 接近 던지다 бросать; выбрасывать; забрасывать; кидать; метать 상황 ситуация; положение; обстоятельство 狀況 굉장히 very 오디오북 audio book 하이브리드 hybrid 아날로그 화면 картина; изображение; сцена; кадр; экран; эпизод 畵面 디지털 섞다 смешивать с чем; подмешивать; примешивать что; прибавлять 특정 ~하다 особо устанавливать (определять) 特定 질서 порядок 秩序 분량 доза; количество; вес; объём 分量 배치 1) противоречие 2) расположение; размещение (чего-л.); распределение; дислокация; расстановка; расквартировка 背馳, 配置 집합 сбор; собирание 集合 주제 главная (основная) тема; лейтмотив 主題 집중 сосредоточение; концентрация; централизация 集中 다루다 обращаться с кем-чем; управлять чем; владеть кем-чем 즉 то есть; а именно 卽 요소 важное место; важный пункт; ключевая позиция 3) (важный) элемент; (существенный) фактор 要所, 要素 의견 мнение; взгляд; точка зрения 意見 동의 1) внесение предложения; предложение 2) единомыслие; одинаковое мнение; одинаковая мысль; согласие; совпадение мнений (взглядов; мыслей) 3) одинаковый смысл; синонимия 動議, 同意, 同義 현상 1) премия; приз 2) проявление (фото-, киноплёнки и т.д.) 3) явление; феномен 懸賞, 現像, 現象 자발 ~적 самопроизвольный; добровольный 自發 스마트폰 자형 2) форма письменного знака (буквы, иероглифа) 字形 지그재그 зигзаг; ломаная линия zigzag 소제목 подтема; подзаголовок 小題目 확 внезапно; неожиданно; вдруг; быстро; резко 훑다 1. отдирать; обдирать; сдирать 2. внимательно (тщательно) осматривать 3. промывать начисто; полностью прочищать 대충 = 대강 substitution 후루룩 flap, slurp 살짝 слегка; незаметно; тайком 방식 метод; способ; система; режим; формула 方式 밀도 густота; плотность; консистенция 密度 파악 ~하다 постигать; понимать; давать себе отчет в чем; схватывать; держать в руках 把握 무한히 관능 функции органов; ощущения 官能 연작 совместное (коллективное) творчество; тематический сборник 連作 진지 2) ~하다 искренний 3) позиция , 眞摯, 陣地 우주 вселенная; космос; космическое пространство 宇宙 벌어지다 образовываться (о ели); развертеться; расходиться; расширяться 불운 неудача; несчастье 不運 격변 резкая перемена; резкое (неожиданное) изменение; переворот; перипетия 激變 앗다 отбирать; выхватывать; отнимать; лишать; очищать; лущить; приготовлять 전투 бой; битва 戰鬪 파업 забастовка; стачка 罷業 파산 разорение; банкротство; крах 破産 화재 пожар; пожарный 정치가 политик;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политический) деятель 政治家 냉정 1) ~하다 холодный; бездушный 2) хладнокровие; спокойствие; бесстрастие 冷情, 冷靜 소비 потребление; расходование 消費 쏟아지다 высыпаться; валить; лить; извергаться; просыпаться; проливаться; привалить 정신없이 insane 지혜 мудрость; разум; благоразумие 智慧 발달 развитие; прогресс 發達 담다 накладывать; наполнять; всыпать; вливать; воплощать; отражать; вкладывать 점점 постепенно; мало-помалу; всё более и более 漸漸 길들이다 1. наводить блеск (лоск) 2. приручать; укрощать 3. привить привычку 발전 1) развитие; развёртывание; перерастание 2) выработка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發展, 發電 증후군 symptoms; a syndrome. 호소 1) призыв; обращение; воззвание; жалоба 呼訴 요약 краткие выводы; резюме; основное содержание 압축 сжатие 壓縮 요점 главный (важнейший) пункт; суть (сущность) дела 要點 치우다 убирать; приводить в порядок; прибирать; доедать; съедать до конца; бросать (остаапять) на середине 상실 потеря; утрата 喪失 더더욱 기울이다 склонять; наклонять; сосредотачивать 짧아지다 укорачиваться; становиться (довольно) коротким 주의력 внимание; сосредоточенность 注意力 결핍 недостаток; нехватка 缺乏 과잉 излишек; избыток 過剩 빠져들다 fall into, be absobed in 당연히 naturally 떨어지다 удаляться; отрываться; оставаться; отставать; оставаться позади; снижаться; понижаться; быть хуже; не идти в сравнение; кончаться; иссякать 탐구 исследование; изыскания; расследование; поиски 探究 도구 орудие; инструмент; прибор; средство 道具 해방 освобождение; раскрепощение; эмансипация; отцепление 解放 분산 ~하다 рассеивать; рассредоточивать 分散 전환 поворот; перемена; отвлечение 轉換 오락 развлечение 娛樂 답답하다 душный; скучный 행위 act 즐거움 удовольствие; наслаждение 늘어나다 = 늘다 увеличиваться; возрастать; расти; удлиняться; развиваться; повышаться; богатеть 쌓이다 быть сложенным (наложенным); складываться; накладываться; накапливаться; быть заложенным; быть накопленным 한계 предел; граница; ограничение 효율 коэффициент полезного действия 效率 해치다 наносить (причинять) вред (ущерб); вредить; портить 害- 빼앗다 отнимать 상승 подъём 上昇 분리 ~하다 отделять; обособлять 分離 종합 синтез; обобщение 綜合 끌어올리다 втаскивать наверх; поднимать 경고 предостережение; предупреждение; выговор 警告 흥분 волнение; возбуждение; раздражение 興奮 순식간 мгновение 瞬息間 식다 остывать; охлаждаться; успокаиваться 본래 с (самого) начала; изначально; искони; вообще; по природе; по существу; по сути дела 탁월 превосходство 卓越 정확 ~하다 правильный; точный 正確 이성 1) разум; разумный 2) другая фамилия 3) противоположный пол; другой характер; изомерия 理性, 異姓, 異性 정서 1) эмоция; чувство; эмоциональный 2) ~하다 писать чётко 3) ~하다 чисто писать; переписать набело 情緖, 正書, 淨書 잦다 1. высыхать; испаряться 2. частый; непрерывный 3. резко наклониться вперед 희미 ~하다 слабый; ёле (едва) заметный; смутный; неясный; тусклый 稀微 머나멀다 very distant 오막살이 live in a hut 수용 1) принятие 2) размещение; помещение 3) экспроприация 4) потребление 受容, 收容, 收用, 需用 능동 ~적 активный 能動 강상중 river surface? 받아들이다 присвоить; принимать; внедрять; слушать(ся) 합치다 соединять(ся); объединяться с чем; вливаться во что; подсчитывать 合- 늘 всегда; постоянно; всё время 구조 1) спасение; помощь; выручка 2) конструкция; структура; устройство; строй 救助, 構造 기관 1) органы 2) двигатель; мотор; аппарат; орган; учреждение 3) трахея; дыхательное горло 器官, 機關, 氣管 구별 различие; разница 區別 구분 классификация; сортировка; деление; разделение; подразделение; дробление 區分 가령 если (бы); предположим, что...; допустим, что... 假令 후각 обоняние; нюх 嗅覺 미각 вкус; вкусовые ощущения 味覺 촉각 осязание; тактильная чувствительность 구체 1) ~적 конкретный 2) шарообразный предмет; сферическое тело 具體, 球體 풍부 ~하다 богатый; обильный; могучий; сильный 豊富 영향 влияние; воздействие 影響 끼치다 2. наносить; причинять (ущерб; вред); затруднять; оказывать влияние (благодеяние); влиять 간편 удобство; простота 簡便 특징 особенность; характерный признак; специфика; своеобразный; характерный 特徵 영수 1) получение 2) = 영해(領海) 3) вождь; глава 領收•領受, 領水, 領袖 철봉 iron rod 鐵棒 역학 1) механика; динамика 力學 육체 тело; плоть 肉體 자극 1) раздражение; возбуждение; воздействие на кого; импульс; побуждение; стимул стимулирование 2) магнитный полюс 刺戟, 磁極 강화 1) укрепление; усиление 2) мир 3) лекция; выступление; беседа 强化, 講和, 講話 역시 тоже; также; конце концов; как и ожидалось 亦是 묘사 описание; обрисовка; изображение 描寫 끌다 тащить; тянуть; волочить; привлекать; притягивать; затягивать; тянуть; прокладывать; тянуть; вести за собой; вывести 신비 ~하다 (스럽다) мистический; таинственный; чудной; чудесный 神秘 저절로 само собой; самостоятельно 향상 повышение; рост; подъём; улучшение 向上 다만 1. (чаще в сочет. с 뿐, 따름, 만) только; лишь 2. однако; тем не менее; даже 3. (в сочет. с 라도) по крайней мере; хотя бы 영역 1) переводить что на английский язык 2) территория государства; область; сфера 英譯, 領域 알쏭달쏭 ~하다 пёстрый; смутный; неясный; путаный 예전 далёкое прошлое 비슷 ~하다 похожий 타자 ~하다 печатать на пишущей машинке 打字 공감 сочувствие (кому-л.); сострадание (к кому-л., чему-л.); ответное чувство; симпатия 共感 타인 чужой; незнакомый 他人 배려 забота; беспокойство 配慮 세심 ~하다 внимательный; тщательный; скрупулёзный 細心 지능 интеллект; умственные способности 知能 맺다 1. (끈•매듭을) завязывать; вязать; завязываться; образовываться 2. (계약•관계를) (관계•계약을 )завязывать; заключать 3. (끝내다) завершать; заканчивать; заключать 4. (원한을) таить; питать 확률 вероятность 確率 이야말로 именно; как раз 줄다 уменьшаться; сокращаться; снижаться; сжиматься; убавляться; редеть; садиться (об одежде) 협업 [協業] cooperation; cooperative work. 의하다 основываться; опираться 依 기르다 выращивать; выхаживать; откармливать; воспитывать; выпестовать; воспитывать; прививать; отращивать; запустить 수많다 многочисленный; много 數- 겪다 испытывать; переносить; терпеть; угощать 단련 1.закалка; закаливание 2.привыкани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3.мучение 鍛鍊 부딪다 сильно удариться; с силой столкнуться; встретить; столкнуться 반드시 непременно; обязательно; безусловно 고난 трудности; лишения 苦難 말썽 жалобы; ворчание; скандал; склока 미리미리 задолго; немного раньше 처리 обращение; управление; обработка 處理 숲 лес; роща 표류 дрейф; дрейфовый 漂流 이별 расставание; разлука; прощание 離別 통보 вестник; сообщение; донесение; сводка 通報 이루어지다 be achieved[attained 대처 меры; подготовка 對處 대비 1) подготовка 2) сопоставление; сравнение; контраст 對備, 對比 읽히다 заставлять читать 들려주다 давать возможность послушать; рассказывать; давать знать кому 완결 окончание; завершение 完結 식상 боли в желудке после еды 食傷 창조 творчество; созидание 創造 비유 метафора; аллегория 比喩; 譬喩 개념 понятие; концепция 槪念 과정 1) предмет; курс (обучения); учебный план 2) ход; процесс 課程, 過程 독창 1) оригинальная выдумка; оригинальное творение 2) соло; сольное пение 獨創, 獨唱 개선 1) триумф; победа 2) улучшение; исправление;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е 凱旋, 改善 자체 1) форма букв; шрифт 2) сам по себе 字體, 自體 어휘 лексика; словарь 語彙 집어넣다 включать во что; вкладывать во что; сунуть (в карман); устраиваться (на работу); вставлять (слово, выражение) 적합 ~하다 соответствовать чему; подходить чему 適合 신선 1) ~하다 новый; свежий 2) небожитель; сказочный человек 新鮮, 神仙 고치다 1. чинить; ремонтировать; исправлять 2. изменять 3. исправляться 4. лечить; вылечивать; излечивать 끊임없이 endlessly 감성 чувствительность; восприимчивость 感性 사상 1) предметы (вещи) и явления 2) 1. идея; мысль 2. мышление 법칙 закон; правило; закономерность 法則 심오 ~하다 глубокий; серьёзный 深奧 세련 ~하다 совершенствовать; шлифовать 洗練•洗鍊 성찰 ~하다 копаться 省察 줄이다 уменьшать; убавлять; сокращать; свёртывать; урезать; срезать; ужимать; снижать; понижать; сбавлять
안녕하세요. 장은수입니다. 오늘 여러분들과 함께 '비독서 시대, 왜 책을 읽어야 하는가'에 대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장은수 작가) ((현) 편집문화실험실 대표, (전) 순천향대학교 초빙교수, (전) 한국문학번역원 이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오늘날 사람들은 책의 중요성은 전부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책을 읽지는 않죠. 너무나 많은 정보들이 세상에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정보는 무한대로 있다) 굳이 책이 아니어도 저희가 원하는 지식과 정보를 무한대로 온라인에서 언제든지 접근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왜 책을 읽어야 하나?라고 하는 질문이 우리 많은 전문가들한테 던져지고 있는 상황이죠. 정보를 읽는 걸로 충분할까요? 아니면 책이라고 하는 것들을 따로 읽어야만 알 수 있는 그런 것들이 실제로 존재하는 걸까요? 그런 문제에 대해서 여러분들하고 같이 이야기를 나누고 싶습니다.
(정보는 무한대로 있다) 정보는 무한대로 있죠. 하지만 실제로 사람들은 정보만 계속 읽는 것은 아닙니다. 책도 필요하면 그때그때 찾아서 읽는 사람들이 굉장히 많이 있습니다. 그러면 그 사람들은 왜 도대체 정보도 많은데, 읽을거리는 넘치는데 왜 책을 따로 읽는 걸까요? 저희가 종이책도 읽고, 전자책도 읽고, 또 오디오북도 듣고 그리고 온라인에서 각종 정보들을 읽는 독자들. 그 모든걸 다 하는 독자들. 바로 우리들이죠. 그 우리들을 하이브리드 독자라고 부릅니다.
('하이브리드 독자'의 탄생) (종이(아날로그) 읽기 + 화면(디지털) 읽기) (책 읽기 + 글 읽기) 하이브리드는 이것저것 섞어놨다 그런 뜻입니다. 한마디로 말하면 아날로그 읽기도 하고 디지털 읽기도 하는 그런 독자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걸 다른 말로 하면 책도 읽고 글도 읽는 그런 독자라고 할 수 있겠죠. 책하고 글은 약간 좀 다릅니다. 책은 특정한 질서를 가지고 일정 분량 이상, 보통 책 전문가들은 48페이지 정도 이야기합니다. 48페이지 이상 배치해 놓은 어떤 글의 집합 내지는 긴 글을 우리가 책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고요. 글은 그거보다 훨씬 짧은 분량의 특히 특정 주제 하나를 집중적으로 다룬 그런 것들이 우리가 글이라고 할 수 있죠.
('하이브리드 독자'의 탄생) 그러면 짧은 거를 읽는 거하고 긴 걸 읽는 것. 즉 책을 읽는 것은 서로 같기도 하지만 다른 요소들도 많이 있다는 겁니다. 그렇지 않다면 사람들이 굳이 책을 읽어야 될 이유가 없겠죠. 글만 계속 읽어도 문제가 해결될 수 있으니까. 하지만 굉장히 많은 전문가들이 그런 의견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실제로 사람들은 글은 점점점 많이 읽고 그리고 책은 점점점 적게 읽는. 그걸 우리가 비독서라고 하는 말로 부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비독서 현상: 글자를 읽을 수 있고 글도 적지 않게 읽으나 자발적으로 책을 읽으려 하지 않는 일) 글자도 읽을 수 있고 글도 적지 않게 읽는데요. 자발적으로는 책을 읽지 않으려고 하는 그런 일이죠. (책을 거의 읽지 않으나 글은 더 자주, 더 많이 읽는다) 책을 거의 읽지 않고 글을 더 자주, 더 많이 읽게 되면 저희한테 아주 특정한 어떤 읽는 습관이라고 해야 될까요? (새로운 읽는 습관) 저희가 책을 읽을 때와 다른 읽기 습관들이 생겨나게 됩니다. 굉장히 많은 사람들이 스마트폰으로 글을 읽을 때 이런 습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F자형 읽기, 지그재그 읽기) F자형 읽기나 또는 지그재그 읽기라고 부르는 그런 읽는 습관을 보여주고 있는 거죠.
(F자형 읽기, 제목, 소제목, 전체내용, 끝) F자형 읽기는 제목 읽고, 소제목 읽고, 전체를 확 훑은 다음에 다 읽었다라고 얘기하고 다른 글로 넘어가는 거죠. 글을 꼼꼼하게 읽는 것이 아니라 대충 훑어 읽는 것을 우리가 F자형 읽기라고 할 수 있을 것 같고요. (지그재그 읽기, 첫줄, 중간, 끝) 지그재그 읽기는 글을 첫 줄 읽고, 후루룩 훑어 읽고, 마지막 결론 부분을 살짝 읽고 다 읽었다고 생각하는 그런 읽기 방식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더 많은 글을 읽으려면 이렇게 대충대충 읽는 내지는 훑어서 읽는 그런 일들을 많이 할 수밖에 없게 됩니다. (온라인, 스마트폰) 저희가 온라인에서 글을 읽을 때, 스마트폰으로 글을 읽을 때 대부분 글들을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읽고 있습니다. 이렇게 읽어도 괜찮은 글들은 엄청 내용이 가볍거나 정보의 밀도가 굉장히 낮아서 (정보가 적은 글) 훑어 읽어도 대충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글들. 그런 글들을 무한히 무한히 무한히 많이 읽는 것. 마르셀 프루스트는 관능적 읽기라고 불렀습니다. (마르셀 프루스트: 1871년~1922년까지 활동한 프랑스 작가, 연작소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관능적 읽기) 하루종일 뭔가를 읽는데 진짜 진지하고, 밀도가 굉장히 높고, 그리고 인생의 장기적으로 도움이 되고. 이런 글들은 전혀 읽지 않는 것이죠. 프루스트는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실제로는 아무 관심도 없으면서 지난 24시간 동안 우주에서 벌어졌던 모든 불운과 격변, 5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전투, 살인, 파업, 파산, 화재, 독살, 자살, 이혼, 정치가나 배우의 냉정함 등을 일종의 아침 식사 거리로 소비하지 말라." -마르셀 프루스트-)
실제로는 아무 관심도 없으면서 지난 24시간 동안 우주에서 벌어졌던 모든 불운과 격변, 5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전투, 살인, 파업, 파산, 화재, 독살, 자살, 이혼, 정치가나 배우의 냉정함 등을 일종의 아침 식사 거리로 소비하지 마라. 인생 낭비라는 거죠. 이 많은 것들이 다 중요해 보이지만 실제로 자기 인생에 진짜 중요한게 얼마나 있겠습니까? 사실 거의 없다시피 하죠.
(비독서 시대 왜 책을 읽어야 하는가) 하지만 아침에 스마트폰을 열거나 SNS 같은 것들을 열면 이런 글들이 쏟아져 나옵니다. 그걸 정신없이 읽다보면 1시간, 2시간, 3시간 금방 시간이 흘러가죠. 그리고 도대체 뭐가 남는 걸까요? 실제로 도움이 되거나 내지는 지혜를 주는 것. 그런 글들은 거의 없다고 생각이 됩니다.
그런데 이런 글들을 너무 많이 읽으면 우리 머릿속에 변화가 생깁니다. 뇌는 사용하는 방향에 따라서 발달하게 되고요. 과거의 내가 특정한 방식으로 아주 진지하고 또는 무거운 글들, 깊은 의미를 담은 글들을 읽을 수 있는 힘이 있다 치더라도 실제로 점점 그러한 능력들이 사라지게 됩니다. 그리고 새로운 방식으로 뇌가 길들여지면서 저희 뇌가 전혀 다른 방향으로 발전하게 되는데요.
(tl:dr 증후군) ('Too Long; Didn't Read 너무 길어서 읽지 않았다')
그거를 심리학자들은 투 롱 디든 리드. 너무 길어서 읽지 않았다. tl:dr 증후군이라고 부릅니다. 사람들이 저한테 굉장히 많이 호소를 합니다. (세 줄만 넘어도 힘들어요. 요약해주면 좋곘어요) 세 줄만 넘어도 못 읽겠어. 너무 길어. 누가 나한테 요약해줬으면 좋겠어. 짧고 간단하게 정보를 압축해서 요점만 이렇게 전달해 주기를 원합니다. (비독서 시대 왜 책을 읽어야 하는가) 그리고 괜찮은 내용을 담은 내지는 진지한 무엇을 담은 그런 글들은 머리 아프다면서 일단 치워버리기 시작합니다. 계속 치워버리면 점점 읽는 능력을 상실하게 되죠. 훑어 읽어도 괜찮은 글들, Z자로 읽어도 괜찮은 글들, 지그재그로 읽어도 괜찮은 글들. 그런 글들을 점점점 많이 읽게 됩니다. 그리고 그런 글들은 짧고 가벼운 글들이니까 더더욱 더더욱 자주 많이 읽을 수 있게 되죠.
그러면 하나의 글에 실제로 들이는 시간. 주의를 기울이는 시간이 점점점 짧아집니다. 여기에 익숙해지면 우리의 뇌가 산만해지기 시작합니다. 이걸 신경과학자들은 산만한 뇌라고 부릅니다. 한마디로 말하면 주의력 결핍 증후군이라고 할 수 있겠죠.
(읽어도 집중해서 읽지 않고 읽어도 무슨 말인지 이해하지 못하며 긴 글은 읽지 못하는 주의 과잉 상태=산만한 뇌) 읽어도 집중해서 읽지 않고 읽어도 무슨 말인지 이해하지 못하고 긴 글을 읽지 못하는 그런 주의 과잉 상태에 빠져들게 되는 거죠.
공부할 때는 어떻게 될까요? 당연히 주의력이 점점점 산만해지니까 학습력도 떨어지게 됩니다. 주의력이 산만해지면 산만한 뇌를 가지고는 집중력도 떨어져서 무언가를 탐구하거나 깊이 생각하는 그런 능력도 점점점 상실하게 됩니다. 그래서 우리는 더 많이 읽고도 실제로 아는 것은 더 적은 상태. 그리고 더 많이 읽고도 실제로 학습은 할 수 없는 상태. 그런 상태에 떨어지게 되는 거죠.
(오늘날 정보는 힘을 주는 도구도, 해방의 도구도 아니고, 주의 분산과 기분 전환을 위한, 일종의 오락이 되었다.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 그래서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은 이렇게 이야기를 합니다. 오늘날 정보는 힘을 주는 도구도, 해방의 도구도 아니고, 주의 분산과 기분 전환을 위한, 일종의 오락이 되었다. 아무리 많은 걸 읽어도 우리에게 정신적인 힘을 가져다 주거나 그리고 답답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그런 해방의 도구가 되거나 그런 일이 벌어지지 않고요. 단순하게 읽는 행위, 읽는 즐거움만 늘어나게 되는 거죠. 물론 아주 많이 읽으면 이것도 뭔가 내부에서 쌓여서 무언가를 줄지도 모릅니다. 뭔가 우리에게 도움이 될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인생에는 길이의 한계가 있습니다. 무한히 많이 읽으면 해결될 것 같지만 실제로 무한히 많이 읽을 수 없는거죠. 정해진 시간에 효율적으로 내지는 더 의미있게 읽지 않으면 실제로 읽는 것이 우리를 해치는 그런 상황에 빠지게 될 수 있다는 것이죠.
(생각을 만드는 읽기가 있고 생각을 뺴앗는 읽기가 있다) 그래서 저는 이렇게 생각을 합니다. 생각을 만들어내는 읽기가 있고요. 생각을 빼앗는 읽기가 있습니다. 오늘날 사람들은 아주 많이 읽지만 실제로 생각을 만드는 읽기를 하는게 아니고 생각을 빼앗는 읽기에 점점점 익숙해지고 있는거죠. (비독서 시대 왜 책을 읽어야 하는가) 그러다 보니 실제로 아무리 많이 읽어도 생각이 깊어지거나 주의력이 상승하거나 그리고 깊은 생각을 할 수 있는 그런 힘이 생겨나지 않는 겁니다.
(읽기와 독서가 분리되다) 저는 그거를 읽기와 독서가 분리됐다라고 생각을 합니다. 잘 편집되고 생각이 종합적으로 정리되고 (처음 중간 끝) 그리고 처음과 중간과 끝이 확실하고. 이런 정보의 밀도 높은 몸 이런 걸 우리가 책이라고 할 수 있다면요. 책은 읽으면 읽을수록 생각을 만들어줍니다. 그래서 더 많은 책을 읽는 것은 언제나 우리의 생각하는 능력을 끌어올려 줍니다. 하지만 글은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많이 읽는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닌 거죠. 일찍이 프루스트가 경고했듯이 관능적 읽기에 빠지면 읽는 것은 좋아할지 몰라도 실제로 읽으면 읽을수록 뇌가 산만해지면서 생각이 머릿속에서 사라지게 됩니다.
그러면 우리는 더 자주 흥분하고 더 자주 열을 내고 그리고 순식간에 관심이 식어서 다른 데로 옮겨가고. 이거 좋아했다 저거 좋아했다. 이렇게 되죠. 본래 읽기라고 하는 것. 여기서는 책 읽기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읽기는 뇌의 정보전달 회로를 깊고 탁월하게 변화시킨다) 독서는 뇌의 정보전달 회로를 깊고 탁월하게 변화시킵니다. 책이 뭐냐라고 말씀을 드린다면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도구이기만 한 건 아닙니다.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도구이기만 하다면 저희는 책 대신에 온라인에서 모든 걸 해결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런데 그렇지가 않습니다. 책은 정확하게 말씀드리면 깊은 생각을 만드는 도구에 가깝습니다. 뇌를 깊고 탁월하고 이성적으로 그리고 더 정서적으로 만드는 그런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잦은 읽기, 글읽기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자주 글을 읽으면 오히려 이런 깊고 탁월하게 변화한 뇌의 연결망이 희미해집니다. 그러면 저희가 깊은 사고를 못하게 되는 거죠. 그러면 읽기에 책읽기가 실제로 우리 뇌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몇 가지 예를 들어서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머나먼 곳 바닷가에 오막살이 집 한 채") 머나먼 곳 바닷가에 오막살이 집 한 채. 다 아시는 노래죠? 학생들한테 이 노래를 들려주고요. 각자 그림을 그려오라고 합니다. 그러면 똑같이 그려올까요? (비독서 시대 왜 책을 읽어야 하는가)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각자 다 다른 그림을 가져옵니다.
(읽기는 정보의 일방적 수용이 아니라 자발적, 능동적 '자기 내 대화'다 -강상중-) 무슨 말씀이냐면 읽는다라고 하는 것은 정보를 그대로 받아들이는게 아닙니다. 모든 사람이 책을 읽을 때 자기가 가지고 있는 사전 지식 그리고 자기의 경험 이런 것들을 합쳐서 읽습니다. 그래서 바닷가의 모양도 다 다르고요. 그리고 오막살이 집 한 채 모양도 다 다릅니다. 방의 크기, 방 안에 걸려 있는 온갖 가구들 이런 것들도 다 다르죠. 아이들한테 그림을 그려보게 하면 너무나 다양한 그림들이 나옵니다. 단 한 명도 똑같지 않아요. 그래서 읽는다라고 하는 것은 정보를 일방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안에서 정보를 받아들여서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대화하는 것에 가깝습니다. 한마디로 말하면 읽는 것은 늘 자기개발이라는거죠.
("그에게서는 언제나 비누 냄새가 난다.") 두 번째로 이런 구조를 읽어볼까요? 그에게서는 언제나 비누 냄새가 난다. 유명한 소설 작품의 첫 줄입니다. 근데 여기에는 감각에 관한 게 들어있죠. 비누 냄새라는게 들어있습니다. 우리 뇌는 바깥에 있는 정보를 직접 받아들이는게 아닙니다. 감각기관을 통해서 받아들이죠. 2006년 스페인 연구팀이 굉장히 재미있는 걸 발견했습니다. 뭐냐? (뇌는 실제 감각과 감각에 대한 독서를 구별하지 못한다 -2006년 스페인 연구팀-) 뇌는 실제 감각과 감각에 대한 독서를 구분하지 못한다는 거죠. 한마디로 말하면 실제로 비누 냄새를 맡는 거하고요. 그 다음에 비누 냄새에 관한 글을 읽는 거하고 뇌는 구분할 수가 없습니다. 그 이야기는 무슨 이야기냐면 우리가 간접적으로 체험을 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직접 체험한 거 하고 똑같죠. 가령 후각이라든가 또는 미각이라든가 촉각이라든가 이런 것들에 관한 글들을 많이 읽으면 그리고 더 좋은 글일수록 거기에 더 구체적이고 좋은 글일수록 우리의 감각 경험도 풍부해집니다. 우리 감각을 개발하는데 읽기가 굉장히 큰 영향을 끼친다는 거죠. 그래서 좋은 글, 특히 감각에 관한 좋은 글을 많이 읽으면 많이 읽을수록 우리는 실제로 그런 경험을 한 사람들하고 똑같이 경험, 감각의 능력이 끌어올려집니다. 많은 음식을 먹어도 되지만 음식에 관한 글들을 많이 읽으면 우리의 미각이 좋아집니다. 물론 직접 먹는게 조금 더 낫겠죠. 하지만 모든 걸 먹을 순 없잖아요. 그러니 간접적으로 우리의 능력을 끌어올리는 것. 우리의 감각 능력을 끌어올리는 것. 이거는 읽기가 더 간편하고 그리고 더 편리하고 더 접근 가능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고. 그런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읽기가 더 좋은 거죠.
("영수는 공을 차고, 수지는 철봉을 한다.") 세 번째로 영수는 공을 차고, 수지는 철봉을 한다라는 문장을 저희가 읽었다고 생각을 해보죠. 2011년에 프랑스의 언어역학연구소라고 하는데서 굉장히 재미있는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읽기는 뇌로 하는 육체 운동이다. -2011년 프랑스 언어 역학 연구소-) 뭐냐면 읽기는 뇌로 하는 육체 운동이다. 특정한 운동에 관한 글들을 읽으면 실제로 팔과 다리의 근육을 자극합니다. 읽기를 통해서 우리의 운동 능력을 강화할 수도 있습니다. 아무 글이나 되냐고요? 그렇지는 않습니다. 역시 운동 경험에 관한 아주 정밀하고 그리고 잘 쓴 묘사를 가지고 있는 그런 글들이어야 되겠죠. 그런 글들을 많이 읽으면 운동을 잘하게 됩니다. 더 이해하면서 할 수 있게 됩니다.
축구를 잘하고 싶으면 어떻게 해야 되느냐. 나가서 뛰는 것도 중요하지만 축구에 관한 글을 읽는 것이 같이 운동 능력을 끌어 올려줍니다. 그게 읽기의 어떤 신비 같은거겠죠. 저희가 공을 차는 글을 많이 읽으면 축구에 관한 능력이 끌어 올려지고요. 철봉을 많이 하는 글들을 많이 읽으면 저절로 근육에 자극이 가게 됩니다. 그리고 나서 운동을 하면 운동능력이 향상되는거죠. 물론 읽기만 하면 어떻게 되느냐고요? 읽기만 하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그렇게 많이 읽을 수는 없겠죠. 근육이 생길 정도로. 다만 근육을 실제로 사용할 때 큰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그런 방식으로 우리 뇌가 자극이 됩니다. 우리 뇌의 운동 영역이, 운동 영역이 발달합니다. 그러면 어딘가 도움을 분명히 줄 거라고 이야기하는 거죠.
("알쏭달쏭한 네 마음이 예전에 읽은 소설과 비슷한 느낌이야") 캐나다의 학자 레이먼 마르라고 하는 심리학자가 발견한 겁니다. 알쏭달쏭한 네 마음이 예전에 읽은 소설과 비슷해. 이거는 많이 체험해 보셨을 겁니다. (소설을 자주 읽는 사람은 타자를 이해하고 공감하며 상대 입장에서 바라볼 줄 안다. -레이먼드 마르-) 소설을 자주 읽는 사람은 타자를 이해하고 공감하며 상대 입장에서 바라볼 줄 알게 됩니다. 한마디로 말하면 읽기는 우리의 타인에 대한 이해 능력, 공감 능력을 끌어올립니다. 우리의 감정 영역을 극도로 발달시켜서 상대를 더 배려할 수 있게 그리고 상대를 더 세심하게 느낄 수 있게 그렇게 만들어 줍니다.
사회 지능을 끌어올리는데 굉장히 큰 도움을 줍니다. 잘 읽는 사람들은 많이 읽는 사람들은 타인과 좋은 관계를 맺을 확률이 높아집니다. 사회적 지능이라는 말을 최근에 많이 쓰는데요. 사회적 지능이야말로 우리 성공에 굉장히 큰 요소가 되죠. 점점점 그렇게 되어가고 있습니다. 세상은 복잡하고 혼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들은 점점 줄어듭니다. 우리는 협업의 방식에 의해서만 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협업 능력은 어떻게 기를 수 있을까요? 타인과 협업을 많이 해보면 늘어나겠죠. 하지만 좀 더 어릴 때부터 할 수 있는 쉬운 방법도 있는 거죠. 바로 책을 많이 읽는 겁니다. 책 속에 있는 수많은 사건들을 통해서 그리고 그 사건 속에서 인물들이 겪는 느낌을 통해서 마음을 단련시키는거죠. 그러고 나면 우리의 사회지능이 점점점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런 이야기를 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런 낯선 상황은 어디선가 읽은 적이 있어") 이런 낯선 상황은 어디선가 읽은 적이 있어. 살아가면서 누구나 문제에 부딪칩니다. 이런 문제, 저런 문제, 그런 문제. 문제없이 살아갈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죠. 저희가 신이 아닌 한은 인생에는 반드시 고난이 찾아오고 말썽이 일어나게 됩니다. 그러면 그 말썽을 미리 경험한 사람은 쉽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 이렇게 하면 되겠지. 하지만 그 말썽을, 인생의 문제를 경험하지 못했던 사람들은 새로 배워야 하니까 그 문제를 잘 처리하지 못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이야기라고 하는 것이 뭐냐? 조나단 갓설이라고 하는 미국의 작가가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이야기 읽기는 인간을 '편하게' 단련시킨다. -조너선 갓셜, '스토리텔링 애니멀') 이야기 읽기는 인간을 편하게 단련시킨다. 미리 온갖 문제들을 경험하게 만드는 거죠. 아이들 동화를 보시면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숲에서 길을 잃었을 때 어떻게 할까?바다에서 표류하게 되면 어떻게 할까? 친구랑 싸우면 어떻게 해야 될까? 사랑하는 사람이 갑자기 세상을 떠나거나 이별을 통보하면 어떻게 할까? 이런 문제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런 문제를 미리 많이 경험한 사람들 그리고 그러한 문제 속에서 인간이 어떻게 행동하느냐를 많이 경험해 본 사람들은 그런 문제에 대처하기가 쉬운 거죠.
그래서 아이들은 이야기를 좋아합니다. 아주 먼 미래를 대비하고 있는 거죠. 그 수많은 이야기들을 들으면서 미래에 이런 일이 일어나면 난 이렇게 할거야. 저렇게 할 거야. 이렇게 연습을 하는 거랑 똑같습니다. 아이에게 많은 이야기를 읽히는 것. 그리고 많은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은 아이의 미래를 준비하는, 준비시키는 그런 아주 중요한 행위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게 짧은 글로 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이야기는 되게 굉장히 길죠. 동화도 굉장히 길구요. (처음 중간 끝) 이야기의 처음과 중간과 끝을 다 보여줘야 그런 경험들을 충분히 할 수 있는 거죠. 책을 읽지 않으면 이런 것들은 알 수가 없게 됩니다. 그러니까 많이 읽었다고 중요한게 아니고요. 길고 완결된 걸 그리고 앞뒤가 떨어지고 묘사가 풍부하고 이런 글들을 많이 읽어야 하는 것이죠.
하나 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책을 많이 읽은 사람들 내지는 책을 많이 읽는 아이들은 이런 이야기를 자주 합니다. ("이런 표현은 식상해. 새로운 말을 찾고 싶어.") 이런 표현은 식상해. 좀 더 아름답고 좀 더 세심하고 이런 말 없을까? 이런 생각들을 많이 하게 됩니다. 내 마음을 전해줄 수 있는 정확한 말을 자꾸자꾸 찾으려고 하죠. 그러니까 창조성이 뭐냐? 같은 것을 더 세심하고 더 새롭게 이야기하는 능력입니다.
우리가 새로운 말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 새로운 비유를 탄생시킬 수 있다는 것. 새로운 개념을 창조할 수 있다는 것은 하나의 세계를 창조하는 거하고 똑같습니다. (문학을 자주 읽으면 정보처리 과정이 독창적으로 개선된다.) 책을 많이 읽으면 특히 문학을 많이 읽으면 그 중에서도 시를 많이 읽으면 정보처리 과정이 독창적으로 개선이 됩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정보 그 자체를 전달하는 책도 너무 중요하지만 새로운 표현과 새로운 묘사와 새로운 비유가 들어있는 그런 글들을 자주 읽어야 하는 거죠. 그런 글들을 읽고 생각하게 되면 그리고 그런 글들을 자기의 어휘 목록 속에다 집어넣게 되면 스스로 더 창조적인 인간으로 변하게 됩니다. 자기의 생각과 감정을 전달할 때 더 적합하고 더 새롭고 더 신선한 그런 표현들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읽기는 인간을 고쳐 쓴다) 읽기는 인간을 고쳤습니다. 인간이 책을 만들고요. 책은 인간을 끊임없이 고쳤습니다. 어떻게 고쳤을까요? 더 감성이 풍부하고 더 운동 능력이 좋고 더 어휘가 새롭고 더 감성이 풍부하고 더 다른 사람을 잘 이해하고 이런 인간으로 바꾸어 주는 거죠. 거기에 더해서 지적인 능력도 길러 줍니다.
(읽기를 통해 인간은 타자의 경험과 사상을 수용하고. 자연과 사회의 법칙과 흐름을 숙고하며, 사고와 언어를 심오하고 세련되게 만들고, 삶의 가치와 의미를 성찰하는 힘을 얻는다.) 우리는 이런 이야기를 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읽기를 통해서 인간은 타자의 경험과 사상을 수용하고. 자연과 사회의 법칙과 흐름을 숙고하며, 사고와 언어를 심오하고 세련되게 만들고, 삶의 가치와 의미를 성찰하는 힘을 얻습니다. 이걸 우리가 한마디로 줄여서 뭐라고 할 수 있을까요? 저는 인간다움이라고 부르고 싶습니다. 읽기는 우리를 더 인간답게 만듭니다. 책을 읽지 않으면 우리는 인간다움 이하에 머무르게 됩니다. 인간인데도 인간답게 살아가지 못하게 되는 것이죠.
(사람들은 더 많이, 더 자주 읽지만 더 깊게, 더 잘 읽지는 못한다) 저희가 이런 이야기를 했습니다. 사람들은 더 많이 더 자주 읽지만 더 깊게 더 잘 읽지는 못하는 거죠. 그러다 보니 이런 문제들이 벌어집니다. 읽어도 인간다움을 증진시키는 그런 일들이 줄어들게 된거죠. 그래서 더 많이 읽고도 그리고 더 자주 읽고도 우리의 사고력 그리고 우리의 언어 표현력 이런 것들은 점점 떨어집니다. 비극적이죠. 자, 읽기만 하고 책을 읽지 않으면 결국 우리의 뇌는 계속 산만해지구요. (산만한 읽기의 가장 큰 특징은 깊은 사고(Deep Thinking)의 약화) 산만해지면서 우리 안에서 사라지는게 생기는데 바로 깊이 사고하는 능력입니다. 깊은 사고가 사라지게 되는 거죠. 딥씽킹이 없어집니다. 그게 우리한테 비극을 만들죠.
읽는 인간과 읽지 않는 사이에 격차를 만들어냅니다. 그래서 앞으로 대다수의 사람들은 읽지 않는 상태에서 수동적으로 살아가게 되구요. 소수의 어떤 사람들, 책을 읽는 사람들이라고 저는 부르고 싶습니다. 책을 읽는 사람들만이 깊고 심오한 사고들을 하면서 문명을 이끌어 가겠죠. 이러면 굉장히 큰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저희가 독서 격차가 곧 지위의 격차나 또는 계급의 격차로 이어지는 그런 비극을 맛보게 될 것 같습니다.
그래서 현재 굉장히 많은 학자들이 많이 읽는게 문제가 아니고 잘 읽는게 문제다라는 이야기를 꺼내고 있습니다. 그걸 우리가 문해력이라고 봅니다. (문해력=리터러시(Literacy) 정보가 없는 게 문제가 아니라 잘 읽을 수 있느냐가 더 걱정) 정보가 없는게 아니고요. 읽고도 무슨 말인지 모르겠네, 이해가 잘 안돼 이런게 문제인거죠. 읽기가 사고를 만들어내지 못하는게 진짜 문제인거죠. 그래서 그거를 리터러시라고 하는 개념으로 최근에는 많이 부르기도 합니다. 리터는 문자라는 뜻이고요. 러씨는 아마 능력 이렇게 이 정도 되겠죠. 그래서 읽는 힘, 읽는 힘이 고갈되어 가고 있다. 그리고 읽는 힘이 고갈되고 나서 우리 안에서 굉장히 많은 것들이 잊혀지게 될거다. 한마디로 말하면 우리가 인간답지 못하게 될거다.
많이 읽는다고 해결되는게 아닙니다. 책을 읽어야 우리가 해결되는게 있습니다. 그걸 우리가 이렇게 이야기 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책은 관조 미디어) 책은 제 생각에는 미디어는 미디어인데요.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그 역할 말고 다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지식과 정보는 스마트폰으로 앞으로도 하셔도 됩니다. 하지만 책의 진짜 정체성은 뭐냐? 저는 관조 미디어라고 부르고 싶습니다. (책은 종합적 분석, 비판적 통찰, 느린 지혜, 섬세한 감각을 다루는 기계이다) 책은 종합적인 분석 그리고 비판적인 통찰 그리고 느린 지혜 그리고 섬세한 감각을 다루는 기계입니다. 한 발 떨어져서 보게 만들고요. 그리고 정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게 아니고 비판적이고 회의적으로 받아들이게 만듭니다.
무엇보다도 인생에는 즉각적으로 알지 못하는게 있습니다. 아주 느리게 밖에 알지 못하는게 있습니다. 가령 사랑이란 무엇인가? 우정이란 무엇인가? 친밀한 삶이란? 친밀성이란 무엇인가? 가치 있는 삶이란 무엇인가? 이런 것들은 평생에 걸쳐서 탐구해야 간신히 알 수 있는 겁니다. 책은 바로 그 느린 지혜, 평생에 걸쳐 탐구했을 때 알 수 있는 것들을 우리에게 전해줍니다.
아울러 아까 말씀드렸지만 책은 아주 미묘한 감각을 다룹니다. 거칠고 즉각적이고 이런 감각이 아니고 깊은 생각이 들어있는 그런 감각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것들을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힘. 이런 힘은 빠르게 생겨나지 않습니다. 한번 책을 읽었다고 해결되지 않는다는 거죠. 인간은 본래 책을 읽도록 태어나지 않았습니다. (문해력은 오랜 시간에 걸쳐 우리 뇌에 천천히 형성된다. 인간은 본래 책을 읽도록 태어나지 않았다. -매리언 울프-)
태어날 때 언어 능력은 타고납니다. 그래서 첫 번째 언어는 누구나 6개월이면 배웁니다. 두 번째 언어부터는 시간이 좀 걸리지만요. 모어는 6개월이면 옹알이를 시작하고요. 1년이면 띄엄띄엄 말하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읽기는 그렇게 안 됩니다. 책을 읽는 것은 글자를 배우고 나서도 보통 한 다섯살 때쯤 배우기 시작을 하죠. 글자를 배우기 시작하고 나서도 제대로 읽으려면 적어도 25살, 더 나아가서는 평생에 걸쳐서 읽는 능력이 서서히 서서히 늘어나게 됩니다. 한 번에 해결되지 않는다는 거죠.
(책을 읽어서 생기는 문해력 없이 디지털 문해력은 충분히 발달되지 않는다) 근데 책을 읽어서 충분히 읽어서 생기는 그런 능력, 그런 읽기 능력. 그런 읽기 능력이 없으면요. 디지털 문해력. 정보기기,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통해서 읽을 때 이해하는 능력. 디지털 문해력이라고 하죠. 디지털 문해력도 충분히 발달하지 않게됩니다. 어릴 때 충분히 책을 읽어서 문해력에 기초를 다져주지 않으면요. 나이 들어서 컴퓨터에서 읽을 때 제대로 읽을 수 없게 됩니다.
("어린 독자는 전문가 수준의 읽는 뇌에서 체화된 '다중적 심층 독서 회로'를 발달시킬 수도 있고, 초보 수준의 읽는 뇌에서 발달 중인 '단축 회로'를 만들 수도 있으며, 아예 읽지 못하는 다른 신경망을 구축할 수도 있습니다. -매리언 울프, '다시 책으로') 그래서 매리언 울프는 이런 이야기를 합니다. 어린 독자는 전문가 수준의 읽는 뇌에서 체화된 '다중적 심층 독서 회로'를 발달시킬 수도 있고, 초보 수준의 읽는 뇌에서 발달 중인 '단축 회로'를 만들 수도 있으며, 아예 읽지 못하는 다른 신경망을 구축할 수도 있다는거죠. 어릴 때 어떻게 읽느냐에 따라서. 아예 못 읽거나, 아니면 단순한 글만 읽거나, 복합적이고 섬세한 글을 읽거나. 이렇게 다른 발달이 생겨납니다.
가장 깊은 걸 못 읽으면 가장 단순한 것도 제대로 읽기 어렵습니다. (문해력은 약해지고 사라진다) 게다가 한번 책을 읽어서, 어릴 때 책을 읽어서 문해력이 일단 몸 속에 생겼더라도요. 책을 읽지 않기 시작하면 문해력이 점점 안에서, 우리 안에서 사라지게 됩니다. 아까 이야기했듯이 세 줄만 넘어도 길어서 못 읽겠네. 조금만 어려워도 이해가 안 돼서 못 보겠네. 이런 일들이 벌어지는거죠. 최근에 제 주변에 그런 거 호소하는 분들 많이 있습니다. 예전엔 내가 책을 잘 읽었는데 말이야 지금은 조금만 길어도 지루해서 못 읽겠어. 어려워서 못 읽겠어. 힘들어서 못 읽겠어.
(일단 독서 습관을 갖추었더라도 꾸준히 책을 읽어 매년 독해력을 충분히 발전시켜 나가지 않으면, 독서 실패의 경험이 쌓이고 결국 비독자로 전환될 수 있다. -이순영(고려대 교수)-) 문해력은 사라집니다. 말을 바꾸면 매년 꾸준히 책을 읽어주지 않으면요. 독서는 증진되지 않습니다. 꾸준히 꾸준히 책을 읽는 사람만 문해력을 유지하거나 늘려갈 수가 있습니다. 그러면 이 비독서, 책을 읽지 못하는 현상. 책을 제대로 읽지 못하는 현상. 이런 것들을 우리가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요?
(비독서의 원인은 책 자체를 싫어하는 개인의 심리적 특성보다 외부의 문해력 환경에 좌우되는 경향이 높다. -이순영(고려대 교수)-) 책 자체를 싫어하는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는 거죠. 경북대 김혜정 교수는 이런 이야기도 합니다. 비독서의 원인은 책 자체를 싫어하는 개인의 심리적 특성보다는 외부의 문해 환경에 좌우되는 경향이 높다. 어떤 환경을 조성해 주느냐에 따라서 독자가 비독자가 되느냐, 문해력을 유지하느냐가 달라지는 거죠. 그러면 인간이 어떻게 해야 문해력을 만들고 유지할 수 있을까요? (인간은 혼자서 책을 읽지 못한다. 일상의 독서 대화가 독서를 만든다) 먼저 인간이 혼자서 책을 읽지 못한다는 것을 받아들여야 됩니다. 아주 훈련된 독자가 아니면 인간은 대부분 혼자서 책을 읽지 못합니다. 다른 유혹들이 너무 많아요.
(어린 시절 부모가 책을 오래, 많이 읽어주면 학생 때도 책을 읽고, 학생 시절 부모나 교사가 책을 권하고 읽을 시간을 주면 성인이 돼서도 책을 읽으며, 독서 동아리 등 책으로 인생을 나누는 친구를 만나면 평생 책을 읽는다) 그래서 일상의 독서대화가 충분히, 충분히 일어나지 않으면 문해력이 쌓이지도 않고요. 그리고 문해력이 만들어지지도 않습니다. 어린 시절에 부모가 책을 오랫동안 또 많이 읽어주면 학생 때도 책을 읽습니다. 그리고 학생 시절에 부모나 교사가 책을 권하고 읽을 시간을 주면 성인이 돼서도 책을 읽습니다. 그리고 독서 동아리에 같은 독서 모임 같은 책으로 인생을 나누는 친구를 만나면 평생 책을 읽게 됩니다. 이 중에 하나라도 빠지게 되면 점점점 사람은 비독자가 되어갑니다. 그러면 어느 날 갑자기 머릿속에 깊이 읽는 능력이 사라지고 사고력이 떨어지고요. 그리고 산만한 뇌로 바뀌게 되는 것이죠.
자, 책은 생각을 창조적으로 만들어 줍니다. 우리는 아직 책 없이 깊은 사고를 만드는 방법을 알지 못합니다. 책을 읽는 능력은 곧 사고를 만드는 그런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독서 혁명은 사고 혁명이다) 한마디로 독서 혁명은 사고 혁명입니다. 책을 읽지 않은 인간은 사고할 수도 없게 되는 것이죠.
비독서시대, 글은 읽지만 책을 읽지 않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책을 읽지 않으면 인간의 사고력은 점점 약해집니다. 독서혁명은 곧 사고 혁명입니다. 인간은 아직 책 없이 사고를 만들어내는 방법을 알지 못합니다. 책을 읽지 않으면 여러분들을 안에서 사고도 점점점 사라져 가게 될 겁니다. 비독서시대,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말씀을 드렸습니다.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