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놀룰루 영화관(1) 여행 가방에 냉국수용 국수다발을 열 다섯 뭉치나 넣어 가지고 하와이로 날아왔다. 이런 일은 그 어떤 가이드북에도 실려 있지 않을테지만─아마도 실려 있지 않겠지─하와이에서 먹는 냉국수는 정말 일품이다. 하와이에 장기간 체재하려는 분은 반드시 냉국수용 국수를 지참하십시오. 그리하여 지금 한 한 달 예정으로 호놀룰루에서 한가하게 휴양을 하고 있습니다. 지금 새삼스럽게 무슨 하와이냐고 한다면 뭐라 할 말은 없지만 하루종일 해변에서 뒹굴뒹굴하면서 수영하고 싶으면 수영하고, 밤에는 술을 마시든가 영화를 보든가 하는 이외에는 아무 것도 원하지 않는다면 하와이만큼 편안한 곳은 이 세상 어디에도 없을 것이다. 거기에 냉국수까지 곁들여진다면 지상 천국이 따로 없다. 지금 이곳에서 가장 평판이 좋은 영화는 론 하워드가 감독한 <코쿤>으로 극장을 평일에도 상당히 붐빈다. <코쿤>이란 누에고치를 일컫는데, 어째서 그런 제목이 붙었는가를 설명하고 나면 영화가 재미없어지니까 설명은 삼가 하겠다. 플로리다의 고급 양로원에서 여생을 천천히(그러나 무척 쓸쓸하다) 보내고 있는 노인들과 그곳을 찾아온 우주인과의 교감을 그린 훈훈한 온정이 스며 있는 작품─대충 이런 내용인데, 뭐야 그렇다면 하고 똑같잖아, 하고 생각하시는 분이 틀림 없이 있는 것이다. 옳은 말씀, 정말 똑같다. 내 주위에 있던 미국인 관객들은 모두 훌쩍훌쩍 울고 있었는데, 그런 점까지 랑 진짜 비슷하다. 그러나 같은 론 하워드 감독의 작품인 <스플래쉬>와 를 섞어 놓은 것 같은 영화라고 표현하는 게 보다 엄밀할지도 모르겠다. 무엇 보다도 가 어린이를 주인공으로 하고 있는 것에 반해 <코쿤>의 주인공은 쭈글쭈글한 노인네들이니, 그런만큼 이 영화의 시점이 쪽보다 한층 더 굴절돼 있다고 할 수 있다. 노인 역을 맡은 베테랑 배우들의 연기도 볼 만한 것으로, 특히 던 아메슈가 브레이크 댄스를 추는 장면 같은 경우 대단한 호평이었다. 론 하워드로 말하자면 <아메리칸 그래피티>에서 어딘가 모르게 연약해 보이는 남자 우등생역을 맡았던 사람인데, 감독으로서의 역량도 제법 무시 못할 것이다. <스플래쉬>는 일본에서는 그다지 흥행하지 못했지만, 이 <코쿤>은 꽤 분위기가 좋은 영화니까 일본에서도 히트를 했으면 좋겠다. 그러나 등장인물의 대부분이 노인과 우주인인 영화 따위, 일본의 영화 회사라면 기획단계에서 벌써 제작을 허가하지 않을 것이다. 이 <코쿤>을 명랑하고 긍정적인 우주인 영화라고 한다면, 토비 후퍼의 신작 <라이프 포스>는 우울하고 부정적인 우주인 영화다. 원작자는 콜린 윌슨이라고 하는데, 책을 아직 읽지 못했으니 비교할 길이 없다. 간단히 말해서 <에어리언>과 <존비>와 <고스트 바스터즈>를 뭉뚱그려서 토비 후퍼 특유의 그로테스크 지향으로 양념을 한 것과 다름없는 작품이니까, 그런 부류의 영화를 싫어하는 분들은 안보시는 게 현명하리라. 나는 이런 류의 영화를 꽤 좋아하는 편이라 지루하지 않게 즐길 수 있었지만, 얼마간 장난 같은 느낌이 있어, 한 중간쯤까지 보다 보면 싫증이 난다. 후퍼의 주무기는 적은 예산으로 만든 싸구려 영화의 악취미적인 것이니까, 이 정도의 대작을 마지막까지 구영하는 것은 좀 힘겨울 것 같은 기분도 든다. 그래도 집요하게 악취미적 경향을 살리고 있는 부분을 보면 과연 대단하다 싶다. 관객은 드문드문. 존 부어맨의 <에메랄드 포리스트>는 개봉 첫 날이라는 이유도 있어 제법 관객들로 붐볐다. '실화에 기초하고 있다'는 사전 광고가 있었는데, 줄거리가 너무 매끈하게 처리되어 있어 어디까지가 '기초'인지 잘 모르겠다. 경험상 '실화에 기초를 두었다'는 헐리우드 영화만큼 그 사실 여부가 수상쩍은 게 없기 때문이다. 아마존의 원주민에게 아들을 납치당한 아버지가, 십 년에 걸쳐 아마존 정글을 헤매며 아들의 행방을 찾아 다닌다는 얘기인데, 부어맨 류의 원시적 폭력성이 여기저기에 드러나 있어 그 나름으로 박력은 있다. 그러나 얘기의 흐름이 너무 매끄러워 도중에는 '뭐야 뭐야.' 하는 식이 됐다가, 결국 마지막 부분에는 서둘러 얘기를 후딱후딱 끝 마치는 꼴이 되어 버린다. 부어맨으로 말하자면 뭐니뭐니 해도 <포인트 블랭크> <탈출> <엑스칼리버> 이 세 작품이 최고의 영화이고 나도 굉장히 좋아하는데, 그 나머지는 약간 격이 떨어진다. 식인종들이 모두 보조를 맞추어 정글 속을 '우호, 우호, 우호.' 하고 행진을 하는 장면은 타잔 영화 같기도 한 게 아주 재밌다. 부어맨이라고 하는 사람은 무슨 생각을 하고 영화를 만드는 건지 잘 알 수 없어 찜찜하다. 그러나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 건지 잘 알 수 없다는 점에서는 <레드 소냐>를 감독한 리차드 프래이셔 쪽이 한술 더 뜨는지도 모르겠다. 이 영화는 <코난 더 그레이트>와 <코난 더 디스트로이러>하고 계속된 라우렌티스의 로버트·E·하워드* 시리즈의 세 번째 작품인데, 한 작품이 나올 때마다 전압이 약해진다. 나 개인적으로는 이런 류의 영화를 좋아하는 터라, 그래도 호의적인 안목으로 보고 있는 편인데, 그럼에도 <레드 소냐>는 좀 심한 작품이라고 생각된다. <터미네이터>로 평판이 쑥 올라간 아놀드 슈왈츠제네거도 <레드 소냐>에서는 전혀 빛이 나지 않는다. 당연한 일이지만 관객석 쪽도 그다지 흥이 나지 않는 듯 박수도 없다. 로버트·E·하워드의 원작 중에는 훨씬 더 스릴이 있고 와일드한 작품이 얼마든지 있는데, 어째서 이렇게 평범하고 시시하기 짝이 없는 작품을 영화로 만들지 않으면 안되었는지 이해하기 어렵다. <페일 라이더>와 <실버래드> 이 두 흥미진진한 서부극에 대해서는 내주에 말씀드리겠습니다. COMING SOON! ------------------------------------------------------------------------- * 로버트·E·하워드(Robert Erving Howard) : 미국의 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