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기증 나는 고소공포증이 있어 높은 곳에 올라가면 정말 옴싹달싹도 못한다. '여기서 떨어졌다가는 영락없이 죽겠지.' 싶은 장소에 가면 허리께가 찡한 게 한걸음도 움직일 수 없게 된다. 그런 나에 비하면 우리 마누라는 높은 곳을 밥보다 좋아하여 함께 여행을 떠나기라도 하면, 반드시 높은 곳에 올라가서는 깡총깡총 뛰기도 하고 외발로 서 있기도 하면서 즐거워한다. 그런 무신경함을 나는 이해할 수 없다. 단순한 놀림이라고밖에 생각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높은 곳이면 어디를 막론하고 무서운가 하면 그런 건 아니고, 산이라든가 절벽같이 자연적으로 생긴 높은 곳은 비슷한 높이라도 빌딩이나 탑 등의 위에 서는 것에 비해 그렇게─어디까지나 상대적으로─무섭지 않다. 가장 겁나는 것은 뭐니뭐니해도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높은 곳이다. 내 책의 표지 그림을 그려 주고 있는 사사카 마키씨의 댁도 고층 아파트의 9층인가 10층에 있는데, 나는 거기에 가기가 겁난다. 엘리베이터에서 내리고 나면 허공으로 뻥 뚫려 있는 바깥 계단을 통해 한 층 아래로 내려가야만 하기 때문이다. 안쪽 벽에다 손을 대고 한걸음 한걸음 계단을 내려가다 보면 늘 담당 여성 편집자가 '무라카미씨, 뭐 하고 계세요?' 하고는 흰 눈을 뜨고 흘깃거린다. 곁에서 보고 있으면 과연 '도대체 뭘 하고 있는 거야?' 싶은 생각도 들겠지만, 어찌 됐든 공포를 느끼지 않는 사람에게 공포의 성질을 설명하기란 지난한 일일 것이다. 나도 때로는 공포영화를 싫어하는 사람에게 일부러 그런 류의 비디오를 보여주며, '저것 봐, 전기톱에 손목이 날아갔어.' 하고 놀려대니까 남 얘기는 할 수 없지만. 지금까지 가장 겁났던 것은 빈의 성 슈테판 사원 위이다. 그 당시에 나는 전혀 그런 곳에 올라갈 엄두도 안내고 있었는데, 마누라가 '어때요, 안 무서워요. 올라가 봐요. 인간이라면 일보 일보 진보를 해야지요.' 라며 끈질기게 설득을 하는 바람에 '그럼 어디.' 하고 얼떨결에 엘리베이터를 타고 말았다. 퀘른의 대성당을 오를 때는 계단이었기에 도중에 겁이 났어도 되돌아올 수 있었지만, 엘리베이터니까 그렇게 할 수는 없다. 엘리베이터에서 나오니 그곳은 바람이 휭휭 불어대는 깎아지른 듯한 지붕 위였다. 더구나 한번 내려간 엘리베이터는 그 다음 손님이 정원을 채울 때까지는 올라오지 않는다. 물론 지붕을 따라 철조망으로 된 울타리가 쳐져 있긴 하지만, 그런 울타리 따위 나로서는 도저히 신뢰할 수도 없고, 얼어붙을 듯한 겨울 바람은 쌩쌩 불어대지, 도무지 살아있다는 기분이 안 들었다. 그렇게 무서워해야 할 정도라면 인간, 진보 같은 거 안해도 좋다고 생각한다. 생각해 보면 공포심도 재산의 하나이다. 공포를 느끼지 않으니까 위대하다든가 느끼니까 형편없다든가 하는 식으로 단면적인 단정을 내릴 수 없는 종류의 것이다. 그건 그렇다치고, 유럽의 오래된 건축물에는 제법 겁나는 곳이 많다. 특히 대성당은 하늘에 닿을 것처럼 예각으로 치솟아 있어 실제로 꼭대기에 올라가 보면 어중간한 고층빌딩의 옥상보다 훨씬 박력이 있고, 공포의 질도 높다. 비교문화론을 펴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성 슈테판 사원의 지붕 위에서 느끼는 고소공포는 일본이나 미국에서 느끼는 고소공포와는 질적 차이가 상당한 것으로 내게는 느껴진다. 고소공포증을 모르는 사람은 이런 미묘한 차이를 도저히 느낄 수 없을 것이다. 시간만 있다면 세계의 고소를 여기저기 돌아다녀 보면서 '고소공포의 시점에서 본 고소문화론' 같은 것을 써 보고 싶을 정도이다. 이런 건 단언컨대 고소공포증 환자가 아니면 쓸 수 없다. 때로는 세상에는 왜 고소공포증인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이 존재하는 것일까, 하고 심각하게 생각해 보기도 하는데, 아무래도 잘 모르겠다. 아무리 생각해도 유아기에는 높은 곳에 올라가서 무서워했던 기억이 없고, 그렇다고 고소공포증이 유전이라고도 생각되지 않는다. 혹은 프로이트의 '억압된 심적 트러블의 상징적 표현'이라는 지론에 심증이 가는 것도 아니다. 그렇다면 나는 대체 언제부터 어떤 식으로 고소공포증이라는 병에 휘말리고 말았단 말인가? 이렇게 되면 이제 '공포의 선택이란 무작위하게 이루어진다.' 라고 생각할 수밖에 없다. 즉 인간에게는 소위 정신의 보호막으로써 하나나 둘쯤은 공포가 필요하기 마련이라, 결국 그 대상이 무엇이 됐든 상관없는 것이다─라는 얘기가 된다. 내 경우에는 그것이 우연찮게 고소공포증인 셈이다. 개중에는 폐소(閉所)공포를 선택한 사람도 있을 것이고, 첨단(尖端)공포를 선택한 사람도 있을 것이고, 암흑공포를 선택한 사람도 있을 것이다. 어쩌면 운 나쁘게도 그 모든 공포를 다 선택하고 만 사람도 있을지 모르겠다. <레이더스>에 나오는 저 공포를 모르는 무적의 인디애나 존스씨만 해도 뱀만큼은 도저히 이겨내지 못하지 않았던가? 요컨대 공포라고 하는 것은 인간에게서 빼놓을 수 없는 한 요인이고, 그것이 해석하기 어려운 것일수록 그 유효성은 클 거라고 나는 생각한다. 대저 우주의 거대한 암흑 속에 동그마니 떠 있는 바위 덩어리에 매달리듯 달라 붙어서 불안정한 생을 영위하고 있는 인간이란 존재가 아무런 공포도 느끼지 못한다는 상황 쪽이 내게는 더없는 공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