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신 사이 키드 내가 태어난 곳은 일단은 쿄토이다. 곧바로 효고현 니시노미야시 슈쿠가와란 곳으로 이사를 했다가, 다시 같은 효고현 아시야시로 이사를 했다. 그러니까 고향이 어디라는 게 좀 명확하지 않지만, 십대를 아시야에서 지냈고, 부모님 집도 거기에 있으므로 아시야 출신으로 되어 있다. 내 진심을 말하자면 좀 더 막연하게 '한신간(阪神間)'이라고 했으면 좋겠는데, 이 '한신 사이'라는 말의 뉘앙스는 관서 관계자 외에는 얼마간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하기야 같은 '아시야'라고 해도 내가 자란 곳은 지금 화제로 들끓고 있는 '공주병 붐'의 아시야가 아니고, '지극히 평범한 주택가'인 아시야라서, 솔직하게 '아시야 출신입니다'라고 말하기가 난처한 구석이 있다. 어쩐지 부끄러운 기분이 든다. 우리집 근처는 유괴를 당할 것 같은 순간에 큰소리를 쳐대면 사람들이 와하고─까지는 안되더라도, 너덧 명은 뛰어나올 그런 아주 평범한 주택가이다. 이전에 덴엔조후(田園調布) 출신의 사나이에게 그런 얘기를 했더니, 그도 '그렇다니까, 정말 그래.' 하고 동의를 표해 주었다. '우리 집은 말이지 덴엔쪼후의 가난한 쪽에 있는데도, 태어나서 자란 곳이 덴엔쪼후라는 말만 하면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들이 야, 굉장하군요, 라구 한다니까. 답답한 노릇이지.' 라는 것이다. 정말 답답할 것 같다. 당최 나 같은 사람은 아시야에서 십대를 보내면서 '공주님' 같은 여자애한테는 단 한번도 말을 건네 본 기억이 없다. 아시야에 관한 기억 중에서 지금도 선명하게 기억하고 있는 것이 있다면, 한 밤중에 곧잘 집을 빠져 나가서는 해안으로 가(지금은 이미 없어지고 말았지만), 친구들과 술을 마시며 장작불을 피웠던 일 정도이다. 허나 그런 정도는 특별히 아시야가 아니더라도 바다만 있으면 어디에서든 가능한 일이다. 그래서 나는 줄곧 '고향이 어딥니까?' 하는 물음에 '코베(神戶) 쪽입니다.' 라고 대답해 왔는데, 그렇게 대답하면 '코베라구요, 좋은 곳이로군요.' 라는 말을 듣는 경우가 많았다. 어쩐지 그런 것도 뒷맛이 개운치가 않아, 최근에는 '효고현 남부입니다'라고 대답하고 있다. '효고현 남부'라는 호칭은 웬지 일기예보처럼 시원스러워, 비교적 좋아한다. 그러나 출생지가 어딘지를 엄밀하게 얘기하기 위하여 이리저리 궁리를 해야 한다는 건 성가신 일이 아닐 수 없다. 내 자신은 아는 사람이 많은 땅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다. 고향으로 돌아가서 살고 싶다는 생각은 아예 없다. 그런데 동경에서 대학을 나와 동경에 있는 회사에 취직하는 코스를 밟아 결혼하고 자리를 잡았던 한신 사이 출신 친구들이 요즘 들어 탁탁 신변정리를 하고서는 관서로 돌아가기 시작했다. 문득 주위를 돌아보니 나의 고등학교 시절 친구이면서 지금도 동경에 있고 연락이 닿는 친구는 딱 한명밖에 없다. 그들이 귀향하는 이유를 대략 요약하자면 '아이들도 이젠 제법 컸고, 동경보다는 한신 사이 쪽이 주거 환경이 훨씬 좋은 데다, 이제 슬슬 속내를 알 수 있는 토지에서 느긋하게 지내고 싶다.' 는 것인 모양이다. 대개의 회사에는 관서지사(혹은 본사)가 있으니까, 동경을 떠난다 해도 생활이 곤란해질 일은 없다. 때때로 이런 편리함이라든가 믿는 구석이 있으니까, 한신 사이 출신들은 동경에 와서도 맹렬, 활달하게 움직이지 않는 게 아닌가, 하는 기분이 들 때도 있다. 물론 그 중에는 열심히 애쓰는 사람이 있기도 하겠지만, 실제로는 본 적이 없다. 이런 경우는 나의 친구나 지기에 한정된 현상인지도 모르겠으나, 모두들 비교적 느긋하여 술을 마시고 행패를 부린다거나 타인의 다리를 걸고 넘어지는 일은 거의 없다. '뭐, 좀 어때.' 하는 정도로 대부분의 일이 수습된다. 로렌스 캐스던 감독의 영화에 <다시 만날 때>라는 영화가 있다. 60년대 키드가 십몇 년인가만에 재회했는데, 그 동안에 쌓인 사랑과 증오에 서로가 뒤엉켜 이성을 잃는다는 동창회물이다. 만약 똑같은 설정으로 한신 사이 출신들을 주인공으로 기용했다면, 그 영화는 그렇게 애증이 엇갈리는 작품은 안되었을 것이다. '오랜만이야, 지금 뭐 하는데?' '소설 쓰고 있어.' '소설 쓰는 것도 힘든 일이겠지?' '그저 그렇지 뭐.' '그래, 건강하게 잘 해봐.' 하는 정도로 영화는 한가로이 끝나고 말 것 같다. 오오모리 카즈키(大森一樹)가 <다시 만날 때>를 재촬영한다면 이런 노선에 근접할지도 모르겠다. 요 며칠 전 아시야로 돌아간 친구와 오랜만에 동경에서 만나 한신 사이에 대한 여러 정보를 들었다. '지난번에 우리 어머니가 가정부 모집 광고를 신문에 냈더니 25,6명이나 신청이 들어와서 말이야, 그래서 아시야의 시민회관을 빌려서 면접을 했더랬어.' 라고 그는 말한다. 가정부 면접을 치르는데 시민회관을 빌리다니, 스케일이 크다고 할까, 기우(氣宇)가 웅대하다고 할까, 좌우지간 굉장하다. '그래서 어머니가 혼자서 하기는 좀 힘들다고 하길래, 나도 따라 갔거든. 하긴 스물 몇 명이니까, 얘기하는 것만으로도 피곤할 것 아냐.' 그의 얘기에 의하면 그 스물 몇 명 중에는 '어찌하여 이런 사람이...' 하고 의아스러울 만큼 아름답고 이지적인 사람도 있어, 한 사람을 고르는데 상당히 애를 먹었다고 한다. 나도 한번 아시야의 시민회관에서 가정부 면담을 해 보고 싶다. 미즈마루씨도 해 보고 싶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