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간 아르바이트 뉴스>의 탁월성에 대하여 우리 집에 책이 너무 많아져서 며칠 전 책장을 새로 사들였다. 직업상 어쩔 수 없다고는 하지만 책이란 점점 늘어나기 마련인 그런 것이다. 짜증이 나서 1/3 정도는 팔아 치우자고 아침부터 선별 작업에 착수했는데, 막상 처분을 하려고 하니 '이건 이미 절판된 책이고,' '또 언제 읽을지도 모르니까.' '팔아 봤자 싸구려인데.' 하는 생각이 들기 시작하자, 전혀 숫자가 줄지 않는다. 제일 화가 나는 것은 신간 하드커버 원서를 사 두었는데 읽지도 않은 사이에 번역본이 잽싸게 나와 버린 예로, 번역본이 있는데 힘들게스리 영어로 책 읽을 기분도 나지 않고, 영어책 따위 팔아봐야 돈도 안되고, 이런 경우엔 정말 울고 싶어진다. 그리고 보존해 두어서 도움이 될지 않될지 잘 분간이 안가는 잡지도 처치 곤란이다. 예를 들어 <유레카>라든가 <키네 旬>이라든가 <뮤직 매거진> <미스테리 매거진> <스튜디오 보이스> <광고 비평> 같은 것은 버리고 나면 나중에 후회할 것만 같아 그냥 나두지만 아직까지 도움이 된 기억이 별로 없다. 그러나 아무런 생각도 없이 보존해 두었던 오오하시 아유미 시대의 <헤이본 펀치> 삼십 권이나, <영화예술> 삼 년치, 창간 당시의 <앙앙> 오십 권 등은 지금도 제법 유용하게 써먹고 있으니, 정말 판별하기가 힘들다. 이런 저런 사정으로 잡지가 차지하는 공간도 무시할 수 없다. 요리 페이지를 좋아해서 <가정화보>는 보존하고 있지, <에스콰이어> <뉴욕커> <피플>은 직업상 필요하니까 쌓아 두지 등등을 생각하면 실로 짜증이 난다. 특별히 물욕·소유욕이 왕성한 것도 아닌데, 어째서 이렇게 물건만 늘어나는 건지! 그 점 <아르바이트 뉴스>나 <피아> 같은 타입의 정보지는 정말이지 부담이 없다. 그 기간이 지나면 아무 미련없이 휙 내 버릴 수 있으니 말이죠. - 독수리는 토지를 소유하는가? 내가 잘 가는 외국서적 전문 헌책방이 간다(神田)에 있다. 이 책방의 좋은 점은 무슨 책이든 뒤범벅이 되어 있어, 희귀본도 쓰레기 같은 책도 가격이 일률적으로 책정되어 있다는 점이다. 최근에는 이렇게 사심없는 책장사들이 몽땅 자취를 감춰 버려 서운할 따름이다. 특히 중고 레코드 가게에 그런 경향이 심해서, 조금이라도 진기하다 싶으면 터무니없이 비싼 가격이 매겨져 있다. 옛날에는 (옛날이래야 십 년 하고 조금 전이지만) 이렇지 않았다. 예를 들면 중고 가게의 구석지에 굴러다니는 말 월드런*의 <레프트 아론> 오리지널이라든가, 몽크*의 보그 10인치 오리지널 같은 것을 끈기있게 찾아내어 천 엔에 살 수 있었다. 그런 것을 찾아내는 게 취미라, 학생시절에는 온 동경에 있는 레코드 가게를 순례했지만, 요즘에는 그런 '횡재'를 낚는 횟수가 부쩍 줄어들었다. 희망이 없다. 이 점, 그 칸다에 있는 중고 원서 가게는 아직도 정상적인 가격으로 흥미로운 것들을 살 수 있어 귀중한 존재다. 단 그 헌책방은 책을 장르별로 가지런하게 정리해 놓지 않아, 뒤죽박죽 아무렇게나 진열되어 있거나 쌓여 있는 터라, 원하는 책을 찾아내기란 지극히 어려운 일이다. 특히 몇 천권이나 되는 페이퍼백의 책 등을 살피는 일은 그다지 시력이 좋지 못한 인간에게는 고행 이외에 그 무엇도 아니다. 그래도 나는 그 책방에 들어서면 한 시간 정도는 심심치 않게 시간을 보낼 수 있고, 덕분에 다른 책방에서는 입수할 수 없는 귀한 책들을 꽤 많이 찾아냈다. 단 이 책방 주인이 손수 만들어 붙이는 책 때에 씌어 있는 일본어 제목만큼은 신용하지 않는 게 좋을 듯하다. (독수리는 내려 앉았다)*란 제목이 <독수리는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다>로 돼 있곤 하니, 잭 히긴즈도 깜짝 놀랄 것이다. 하지만 뭐 그런 웃음거리가 있으니까 내 쪽도 심심치 않지만. ------------------------------------------------------------------------- * 말 월드런(Mal Warldron) : 재즈 피아니스트. * 몽크(Thelonious Monk) : 미국 흑인 재즈 피아니스트. 모던 재즈의 개척자 중 한 사람이다. * THE EAGLE HAS LANDED : 책 히긴즈(Jack Higgins)의 작품으로 우리나라에는 <독수리는 내리다>라는 제목으로 소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