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에 대하여 요즘엔 그렇지 않지만, 한때는 미국판 <플레이 보이>지에 실려 있는 '플레이 보이 인터뷰'를 좋아해서, 매 호 빠뜨리지 않고 읽었던 적이 있다. 이 인터뷰 시리즈는 물론 각 회에 따라 내용의 재미가 좀 덜한 경우도 있었지만, 전체적으로는 꽤 높은 평균점을 올리고 있었다고 생각한다. 특히 카트 보네거트나 멜 부룩스를 다룬 내용은 지금도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다. 지금은 그렇게 드문 일도 아니지만, 이전에는 그렇게 많은 지면을 할애해 가며 상대방에게 마음껏 얘기하게 해 주는 인터뷰 기사가 달리 없었으므로, 얘기하는 쪽도 진지하게 얘기하여, 그 결과 대부분의 경우 제목 그대로 '탁 털어놓고 하는 대화(candid conversation)'를 이끌어내는데 성공했다. 물론 길기만 하면 상대방이 모든 걸 정직하게 털어놓는다고 할 수 없으니까, 거기에는 사전에 대충 얘기의 포인트를 지적해 주는 프로그램 같은 것이 설정되어 있고, 방침도 분명하다. 그렇지 않고서는 롱 인터류란 그저 언어의 방류에 지나지 않게 된다. 바로 이런 점을 어떻게 잘 요리하는가에 질문자의 역량이 드러나는 것이다. <플레이 보이> 인터뷰의 기본적인 방침은 대략 다음과 같다. ① 그 분야에 전문적인 인물을 질문자로 지정하되, 지면에서는 그 이름을 밝히지 않는다. ② 질문자는 원칙적으로 상대방에 대해 70퍼센트 정도의 호의를 갖고 있는 게─아니면 적어도 상대방에게 그렇게 느껴지도록 한다─ 바람직하다 (나머지 30퍼센트로 도발적인 발언을 한다). ③ 이야기의 흐름을 끊지 않고, 정체되지도 않아야 하며, 질문은 간결하게 한다. 물론 이것은 <플레이 보이>의 방침이므로, 다른 모든 인터뷰에 그냥 그대로 직결시킬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이 세 가지 포인트는 일반적인 인터뷰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한 중요한 열쇠임에는 틀림이 없을 것이다. 좀 더 다른 표현을 쓰자면, ① '아니, 이게 뭐야, 이런 것도 모른단 말이야?' 하고 상대로부터 업신여김을 받지 않도록 한다. 즉 사전 조사를 면밀히 한다. ② 상대방을 편안하게 하고 얘기를 유도해 내며, 그 위에 이따금은 바싹 긴장하도록 하기도 한다. ③ 프로그램에 얽매이지 않고, 상대의 발언에 임기응변적으로 대처하여 얘기의 줄기를 앞으로 진전시켜 나간다. 는 게 되는데, '말로 하기는 쉽지'만 실제로 해 보면 이처럼 어려운 일이 또 없다. 나 자신도 인터뷰에는 흥미가 있는 터라 몇 번인가 질문자 역할을 해 본 적이 있지만, 그렇게 간단하지가 않았다. 거꾸로 인터뷰를 당하는 입장에서도, '아, 좋은 인터뷰였어. 유익했어.' 하고 즐거워 할 수 있는 인터뷰란 그리 많지 않다. 이건 물론 내쪽에도 얼마간 책임이 있으므로, 질문자에게만 그 책임을 돌리려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경우 '이런 식으로 해서 될까.' 하는 불만이 남는다. 일본 인터뷰의 최대 문제점은, 질문자가 사전에 준비해 둔 프로그램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것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무슨 질문을 하면 그에 대한 답변이 있고, 그 얘기가 어떤 식으로 발전돼 갈까, 하는 기대를 하고 있으면, '그럼 다음 질문인데요─' 하는 엉뚱한 방향으로 진행되어 실망하는 일이 종종 있다. 나만 해도 그 자리에 맞추어 적당히 얘기를 하는 일도 있고, 입에서 나오는 대로 지껄이는 정도까지는 안되더라도 대충 만들어서 얘기하는 경우도 있고, 꽤 알쏭달쏭한 말을 하기도 하여, 그 부분에 대해 파고 들어오면 좀 골치 아프겠는데, 하고 생각할 때가 있는데, 그런 약점을 꼬집는 사람은─조금은 있었지만─별로 없다. 그렇게 되면 내 쪽에서도 스릴이 없으니까, 점점 더 적당주의 노선으로 흐르고 만다. 몇 년이나 소설가를 업으로 하면서, 몇 십 번이나 인터뷰를 하다 보면, 내 쪽도 '이런 질문에는 이렇게 대답하지.' 하는 패턴이 생겨, 이런 것은 편리하다고 하면 편리한 거겠고, 재미없다고 하면 아무런 재미도 없다. 소설가란 자기가 쓴 소설이 전부이고, 특히 나는 자기 방어 능력이 탁월한 편이라서, 무슨 질문을 받더라도 쉽사리 정직한 본심을 털어놓지 않는다. 그러니까 그냥 놔두면 60퍼센트는 정직하게, 40퍼센트는 방어하는 선에서 얘기가 점점 진전되는 것이다. 그게 70퍼센트, 30퍼센트 정도 선이라면 약간을 재미있는 인터뷰가 된다. 80퍼센트, 20퍼센트이면 스스로 얘기하기는 좀 뭣하지만, 어느 정도 쇼킹한 내용도 폭로되지 않을까, 하고 생각한다. 그리고 면밀한 사전 조사를 해 가지고 오는 질문자도 그렇게 많지는 않은 것 같다. 잡지 쪽 일을 하는 사람들은 상당히 바쁘니까 그러려니 여기지만, 이 쪽이 등골이 오싹해져 제대로 얼버무려 넘어갈 수 없도록 만드는 질문을 준비하여 도전해 오는 사람도 그다지 않다. 하기야 어쩌면 그것은 사람들이 친절한 탓인지도 모르겠다. 뭐 나로서는 그 편이 편하니까 고맙기는 하지만. 그건 그렇고 인터뷰 중에 받는 질문이란 대개 그 내용이 정해져 있어, 가장 질문의 횟수가 많은 것은 다음 세 가지이다. ① 몇 시에 일어나고, 몇시에 자는가? ② 필기구는 무얼 사용하고 있는가? ③ 사모님과는 어디서 알 게 되었는가? 그런 걸 물어 무슨 도움이 될 것인가, 하고 늘 염려스럽지만, 모두들 묻는 것을 보면 역시 거기에는 그 나름의 의미가 있나 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