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 그래피티(1) 인간이란 크게 나누어 대충 두 가지 타입으로 갈라진다. 즉 이사를 좋아하는 타입과 싫어하는 타입이다. 뭐 그렇다고 해서 전자가 행동적이고 진취적인 성품에 좀 덜렁거리는 타입이고, 후자가 그 반대라는 뜻은 아니고, 그저 이사를 좋아하느냐 싫어하느냐 하는 아주 단순한 차원의 얘기다. 얘기가 좀 빗나갔지만, 단순한 차원의 얘기를 새삼스레 심각하게 궁리하는 것은 좋지 않다고 생각한다. 가령 장미를 좋아하는 사람은 정열적이라든가, 개를 좋아하는 사람은 성격이 밝다든가, 그런 사고 방식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냥 장미를 좋아 하고, 개를 좋아하는 것일 뿐이다. 참 나 그렇잖아요. 히틀러는 개를 좋아했지만, 개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모두 히틀러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다고는 할 수 없죠. 나는 이사를 무척 좋아한다. 짐을 꾸려서 이 거리에서 저 거리로, 이 집에서 저 집으로 옮겨 다니노라면 정말이지 행복한 기분이 든다. 그렇다고 내가 동적인 인간인가 하면 천만의 말씀이다. 오히려 그 반대로, 생활 습관을 바꾸거나 세상 일에 대한 가치판단을 변경하거나 하는 일은 극단적으로 싫어하는 편이다. 마작의 자리 바꿈, 술집 순례, 다 싫어한다. 양복만 해도 십 오 년전과 거의 같은 것을 입고 있다. 하지만 이사만큼은 좋아한다. 이사의 미덕은 모든 것을 '제로화'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동네 사람들과의 사귐, 인간 관계, 그 밖의 여러 가지 일상 생활에서의 잡다한 일, 그런 모든 것이 한 순간에 휑하니 소멸해 버린다. 그런 때 맛보는 쾌감은 한번 익히고 나면 평생을 잊어버릴 수 없다. 내 친구 중에 마작을 하다가 자기가 내 준 패 덕분에 상대방이 점수를 올리게 되면 '에이, 전부 때려부셔!' 하면서 탁자를 걷어차 버리는 작자가 있는데, 기분학상으로 그 행위와 비슷하다. 야반도주야말로 이사의 기본적 원형이다. 나는 지금껏 꽤 여러 번 이사를 하여, 수 많은 동네에 살았고, 다양한 사람들과 사귀었다. 그리고 그럴 때마다 모든 것을 '제로화'해 버리고 지금에 이르렀다. ------------------------------------------------------------------- * 그래피티(graffiti):낙서. 이사 그래피티(2) 이 잡지는 관동 지방에서밖에 팔지 않으니까(팔지 않겠지, 잘 모르겠다), 관서 지방에 대한 지리적 설명을 하기가 어렵다. 한가한 사람은 지도를 보세요. 우리 집은 내가 철이 들고부터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두 번밖에 이사를 하지 않았다. 불만스럽다. 훨씬 더 많이 이사를 하고 싶었다. 게다가 두 번 이사를 했다고는 하지만, 직선 거리로 일 킬로미터정도의 지역을 왔다 갔다 했을 뿐이다. 그런 건 이사라고도 할 수 없다. 효고(兵庫)현 니시노미야(西宮)시의 슈쿠가와 서쪽에서 동쪽으로, 그리고 그 다음에는 아시야시 아시야가와의 동쪽으로 옮겼을 따름이다. 동경으로 말하자면 신주쿠(新宿)의 미츠코시(三越)에서 마이씨티로 옮겼다가, 신주쿠 교엔(御苑)으로 옮긴 정도의 거리이다. 그런고로 전학이란 걸 해 본 적이 없다. 나는 옛날부터 전학생을 몹시 동경했다. 국민학교에 다닐 때는 전학을 가게 되는 반 친구가 있으면 곧 잘 '이별 문집' 같은 것을 만들어서는, '에미코, 멀리 가더라도 꼭 편지해 줘.' 라든지, '모래밭에서 넘어뜨려서 미안해.' 라든가 하는 글을 정리하여 전해주곤 했다. 그 아이가 없어지고 나면, 한 동안 그 자리만 동그마니 비어 있다. 그런 걸 이상하게도 병적으로 좋아했다. 새로 들어오는 전입생도 무척 좋아했다. 귀여운 여자 아이가 조금은 예민해져 새침을 부리고 있거나, 새 교과서가 없어서 옆에 앉은 아이랑 함께 보는 걸 바라보면서, '이거야, 바로 이거'하는 식으로 흥분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런 강렬한 희망에도 불구하고, 나는 끝내 한번도 전학을 하지 못했다. 그리고 그 충족되지 않았던 소년 시절의 욕구 불만이 열 여덟 살을 지내고 나자 '이사병'이란 숙명적인 형태를 띠고 내게 엄습해 온 것이다. 상세한 것은 다음 회로 계속됨. 이사 그래피티(3) 내가 대학에 들어간 것은 1968년으로, 처음에는 메지로(目白)에 있는 학생 기숙사에서 살았다. 이 기숙사는 친잔소(椿山莊) 옆에 지금도 있으니까, 메지로길을 지나갈 때 행여 생각나면 한번 보세요, 힐끗. 나는 그곳에 반 년 동안 살다가 그 해 가을에 행실 불량으로 내쫓기고 말았다. 경영자가 이름난 우익인데다, 기숙사 사감은 육군 나카노(中野)학교 출신의 으스스한 아저씨이고 보면, 나 같은 학생을 내쫓지 않는 것이 오히려 이상하다. 때는 바야흐로 1968년, 학생 운동의 전성기였고, 내 편은 혈기왕성한 나이었기에 화가 치미는 일이 산더미처럼 많았다. 우익 학생이 점검을 하러 온다기에 베갯밑에 칼을 두고 잔 적도 있다. 하지만 태어나서 여지껏 혼자서 지내기는 처음이라 매일 매일의 생활은 꽤 즐거웠다. 밤이 되면 대개 메지로 언덕길을 내려가 와세다일대에서 마셔댄다. 그리고 마셨다 하면 반드시 곤드레 만드레가 된다. 그 무렵에는 곤죽이 되지 않도록 마시는 기발한 재주는 아직 피울 줄을 몰랐다. 술에 취해 나가 떨어지면 누군가가 들 것을 만들어 기숙사까지 운반해 주었다. 들 것을 만들기엔 실로 편리한 시대였다. 요컨대 여기저기 아무데고 프래카드가 넘쳐 흘렀기 때문이다. '일제분쇄'라든가 '원잠기항 절대 저지'하는 프래카드를 적당히 골라 짓찢어 와서는, 거기에다 술주정뱅이를 태워 옮기는 것이다. 그것도 상당히 재밌었다. 헌데 한번은 메지로 언덕길에서 헝겊이 찢어지면서 돌계단에 정신이 바짝 들 정도로 머리를 부딪힌 일이 있다. 덕분에, 이, 삼일 머리가 아팠다. 그리고 한밤중에 일본 여자 대학의 간판을 훔치러 간 일도 있다. 까짓 거 훔쳐봤댔자 별 신나는 일도 없지만, 웬지 갖고 싶어서 밖으로 나갔는데, 그만 순경 아저씨한테 들켜 줄행랑을 쳤다. 돌이켜보면 그 시절엔 일주일에 한번은 순경 아저씨한테 검색을 당했다. 시절도 어수선했지만, 내 쪽 인상도 나빴으리라. 최근에는 한번도 검색을 당하지 않았다. 순경아저씨한테 검색 한번 당하지 못하게 되다니 내 인생 이제 끝장이 아닌가, 하고 문득 생각하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