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푸른색 양복 내가 태어나서 처음으로 양복을 입은 것은 열 여덟 살 나던 해다. 지금도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는데, VAN JACKET의 제품인 회색 헤링본* 양복이었다. 와이셔츠는 흰색 버튼다운 셔츠, 넥타이는 검정색 니트 제품. 아이비 전성시대의 얘기다. 나는 헤링본 무늬를 몹시 좋아하여, 처음으로 맞추는 양복은 꼭 그 감으로 해야지, 하고 늘 생각했는데, 막상 맞춰 놓고 보니 헤링본지로 만든 양복이 열 여덟 살 소년한테는 그다지 어울리지 않았다. 헤링본을 제대로 입어내기에는 역시 그 나름의 연륜이 필요한 모양이다. 두 번째로 입은 양복은 결혼할 때 맞춘 수수한 올리브 그린색의 영국식 쓰리피스로, 이번에는─스스로 얘기하긴 좀 뭣하지만─ 그런대로 잘 어울렸다. 그 당시에 찍은 사진을 보면, 머리가 길고 지금보다 훨씬 야위어 있는 게, 얼굴에는 굳은 결의 같은 것이 깃들어 있었다. 스물 두 살 때의 일이다. 나는 취직이란 걸 해 본 적이 없으므로, 세 번째 양복이 생긴 것은 훨씬 훗날이다. 스물 아홉 살 때 무연히 응모한 작품이 <군상(郡像)>이란 문예지의 신인상에 당선(이라고 하나?)되어, 그 수상식에 나가기 위하여 일부러 여름 양복을 산 것이다. 그러나 그때는 양복에 대한 동경이나 집착이 이미 사라지고 없던 때라, 가능한한 싼 것을 대충 사 입으려고 마음먹었다. 당시엔 나도 꽤나 거드름을 피웠던지라, 문예지의 신인상 수상식에 나가기 위해 촐싹거리며 비싼 양복을 사랴, 싶은 생각을 갖고 있었던 것이다. 지금 생각하면 퍽 건방지게 느껴진다. 하긴 지금도 건방지긴 하기만, 젊은이들에겐 당할 수 없다. 그리하여 어떤 양복을 살까 하고 산책삼아 아오야마 거리를 기웃기웃하고 있는데, 옛날의 VAN빌딩에서 도산 바겐세일 같은 것을 하고 있었다. 그런가 VAN도 망해 버렸나, 하고 안으로 들아가 보니, 단추가 세 개 달린 구식 면 양복을 팔고 있었다. 올리브 그린색에 가격은 만 오천 엔이었다. 굉장히 싸다. 그래서 그것을 사 가지고 돌아와, 세탁기에 넣고 빨아 쭈글쭈글하게 해가지고는, 헌 테니스화를 신고 수상식에 나갔다. 지금 나의 옷장─이라 할 만한 것도 못 되지만─에는 양복이 한 벌밖에 없다. 폴 스튜어트에서 산 검은 양복뿐이다. 이건 순수한 관혼상제용으로, 아직 한 번밖에 입지 않았다. 앞으로도 양복을 사는 일은 아마 없을 것이다. 그렇게 성가신 옷은 입지 않고 지낼 수 있다면 그게 최선책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값은 비싸고, 움직이기에도 불편하고, 쉴새 없이 스타일이 바뀌고, 드라이 클리닝 값도 든다. 아주 드물게 어디 한 번 양복을 입고 나가 볼까, 하는 기분이 들 때가 있어, 입고 나가면 두 시간쯤 걸어 다니다가는 '아아 귀찮다. 내가 어쩌다 이런 걸 입고 나왔나.' 하고 두고두고 후회한다. 양복이란 정말 부자연스런 옷이다. 넥타이를 졸라 맬 필요가 있을 때에는 전부 블레이저 코트로 때운다. 나는 부룩스 부러더스의 블레이저 코트를 좋아하여, 이것 저것 여섯 벌이나 사고 말았다. 넥타이를 매는 것은 두 달에 한번 꼴이니까, 좀 많이 산 듯한 감이 없진 않지만, 도무지 의복비가 들지 않는 생활을 하고 있으니 이런 정도의 사치는 허용되어도 좋을 것이다. 다만 더블 단추 블레이저 코트를 입고 호텔 로비에 멍청하게 서 있으면, 사람들이 호텔 관계자인줄로 잘못 알아보는 경우가 더러 있다. 오오사카의 로얄호텔에서는 세 번이나 그런 일이 있어, 정말이지 넌덜머리가 났다. '이봐, ○○○실 준비 다 됐나?' 하고 말이다. 그런 걸 내가 알 턱이 없잖은가. 양복 이야기와는 관계없지만, 나는 여기저기에서 심심찮게 다른 사람들과 혼동되는 불상사를 겪는다. 한번은 이케부쿠로의 토부(東武) 백화점에서 쇼핑을 하고 있으려니, 아르바이트생과 혼동되어 '어이 이봐, 왜 명찰 안 붙였어!' 하고는 좀 상사인 듯한 아저씨에게 호통을 들은 일이 있다. 하도 기가 찬 일이라 내 쪽도 아연실색하여 '옛!' 하고 있는 사이에, 상대방은 어딘가로 사라져 버리고 말았다. 토부 백화점에 딱히 원한이 맺힌 것은 아니지만, 그때 일은 지금 생각해도 묘한 체험이었다. 여담은 그만하고 양복 얘기로 돌아가자. 내 자신은 양복을 거의 안 입지만, 양복을 멋지게 차려 입은 남자를 보면, 그건 또 나름대로 꽤 기분좋은 일이다. 그러나 그러기 위해서는 역시 연륜이 쌓여야 하고, 철학도 필요한 것이다. 나는 그 어느쪽도 없으니, 양복을 멋지게 차려 입기란 좀체로 수월치 않다. 미국 화장품계의 거물이었던 고(故) 찰스 랩슨은 그의 일생을 통하여 검푸른 색 양복밖에 입지 않았다고 한다. 그는 빌 피오라반티라는 테일러에게 약 이백 벌 정도의 검푸른 색 양복을 만들게 하여 그걸 차례대로 입었다고 하니까, 그 정도 되면 이미 철학의 영역을 훨씬 뛰어넘었다 해야 할 것이다. <에스콰이어>지에 의하면 검푸른색은 어떤 류의 권위나 힘을 두드러지게 하고, 그 색깔 옷을 입고 있는 사람에게 '지금 열심히 뛰고 있다!' 란 인상을 부여한다고 한다. 과연 당대에 렙슨 제국을 구축한 사람답게, 색에 대한 감각이 날카롭다. 그 얘기를 읽고나서부터는 거리에 나가면 유심히 사방을 둘러보곤 하는데, 검푸른색 양복을 말쑥하게 차려 입은 신사는 웬만해서 없었다. 분명 검푸른 색 양복을 야만스럽게 보이지 않도록 차려 입기란 까다로운 일이겠지. -------------------------------------------------------------------------- * 헤링본(Herrigbone) : 생선뼈나 삼나무 잎 모양을 도안한 무늬, 또는 그 무늬를 짜 넣은 복지. ⊙ 1979년 하루키가 군상지에 응모한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가 군상 신인상의 당선작이며, 동시에 데뷔작이 되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그의 말처럼 그것이 '우연한 응모'는 아니었을 것이다. 그는 이십 대를 마감하기 위하여 형태를 지닌 무언가를 남겨야겠다고 생각했고, 군상 신인상이 요구하는 400자 원고지 200매쯤의 중편 소설이 그가 쓰려는 글에 적당한 분량이라는 계산도 있었다. 또 처음에 씌어진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는 종래의 리얼리즘 문체였다고 한다. 결국 그것은 완전히 폐기되고, 새로이 다시 쓴 것을 지금 우리가 읽고 있는 것이다. 이 작품은 그의 이십 대가 응집된, 오래도록 가다듬어진 예리한 칼날이기도 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