롬멜 장군과 식당칸 옛날에 무슨 책을 읽다가, 롬멜 장군이 열차의 식당칸에서 비프 커틀릿*을 먹는 장면과 맞닥뜨린 적이 있다. 장면이라지만 특별히 상세한 정경 묘사가 있었던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파리를 향하는 식당칸 안에서, 롬멜 장군은 점심 식사로 비프 커틀릿을 먹었다.' 는 정도의 문장이 실려 있었을 뿐이다. 게다가 딱히 비프 커틀릿에 얽힌 얘기도 아니다. 요컨대 롬멜 장군이 비프 커틀릿을 먹었다는 단순한 얘기일 따름이다. 내가 어째서 이 별 볼 일 없는 문장을 잘 기억하고 있는가 하면, 색깔의 조화가 아름다웠기 때문이다. 우선 롬멜 장군의 빳빳한 감색 사지 군복, 하얀 테이블 크로스, 막 튀겨 낸 옅은 갈색의 비프 커틀릿, 버터에 가볍게 볶은 누들, 그리고 창 밖으로 펼쳐지는 북 프랑스의 푸르른 전원 풍경─실제로는 그렇지 않았는지도 모르지만, 문장을 읽어나가며 퍼뜩퍼뜩 떠오르는 것이 그런 색깔들의 어울림이었던 것이다. 그렇기에 이렇다 할 의미도 없는 그런 문장이 언제까지고 머리 한 구석에 들러 붙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것을 문장의 미덕이라고 해도 좋으리라. 이를테면 퍼짐새가 있는 문장 말입니다. 가령 소설 같은 걸 쓸 때는, 이런 퍼짐새가 좋은 한 줄로 시작하면, 얘기가 점점 확대되어 간다. 반대로 아무리 공을 들인 아름다운 문장이라 하더라도, 그게 닫혀진 문장이면 얘기는 거기에서 그만 멈춰지고 만다. 그것은 그렇다치고, 이런 문장을 읽고 있노라면 참을 수 없이 비프 커틀릿이 먹고 싶어진다. 나는 비프 커틀릿의 우수한 맛에 대하여 여기저기에다 썼는데, 좀처럼 그 훌륭함이 인정되지 않아(특히 관동 지방은 지독하다), 정말 유감스럽다. 아직까지도 '예? 쇠고기를 커틀릿으로 한단 말입니까? 어쩐지 맛없을 것 같은데요.' 라고 하는 사람이 있다. 따라서 식당칸의 메뉴에도 대개 비프 커틀릿은 들어 있지 않다. 원통하다. -------------------------------------------------------------------- * 비프 커틀릿(Beef Cutlet) : 얇게 저민 쇠고기 살에 옷을 입혀 튀겨낸 것. 우리나라에서는 '돈가스'의 가스가 커틀릿에 해당하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