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용 비행기 몇 회쯤인가 앞 컬럼에다 최근에는 책을 별로 안 읽는다는 글을 막 쓴 터에 이런 얘기를 쓰는 건 아무래도 좀 부끄러운 생각이 드는데, 요 한달 사이에 제법 책을 많이 읽었다. 일상적으로 글을 쓰다 보면 이와 비슷한 일이 심심찮게 일어난다. '담배를 끊은지 이년, 몸 상태가 아주 양호하다.' 라고 쓴 순간 다시금 담배를 피우기 시작한다거나, '넥타이를 매는 경우는 일 년에 두 세 번밖에 없다.' 라고 쓴 직후에 연달아 세 번이나 넥타이를 매게 되는 사태가 일어난다거나, 이런 등등이다. 무책임하다고 하면 무책임한 일이겠지만, 뭐 세상이란 다 그런거다. 어째서 갑작스레 책을 많이 읽게 되었는가 하면, 요 한달 사이에 전철이니 비행기를 탈 기회가 비교적 많았기 때문이다. 요컨대 이동이 빈번해지면 나는 책을 잘 읽는다. 우선 남반구 순환 비행기로 동경→아테네 사이를 왕복하였는데(편도 20시간), 그 동안 책을 세 권 읽었다. 존 어빙의 과 닥터 로의 <다니엘서>와 존 고어즈의 <하메트>이다. 남반구 순환 유럽행 비행기를 타면 몸도 마음도 밥주머니도 다 너덜너덜하도록 지치지만, 적어도 책만큼은 잘 읽힌다. 은 삼 년인가 사 년전에 읽었을 때는 도무지 감이 안 잡혔더랬는데, 이번에 새로이 읽어 보니 처음 읽었을 때보다 훨씬 재밌다. <카프의 세계>만큼 완성도가 높지는 않지만 풍속소설을 자잘하게 토막내 놓은 듯 특유의 와일드한 재미가 있어 제법 심취할 수 있었다. 나의 개인적인 기준으로 하자면, 두 번째로 읽었을 때가 첫 번째보다 재미있는 작품은 좋은 소설이다. 하기야 두 번이나 읽고 싶은 기분이 드는 소설은 그다지 없으니까, 다시 한번 읽어 봐야지, 하는 기분이 드는 것만으로 이미 충분한지도 모르겠다. 닥터로의 <다니엘서>도 과 마찬가지로 시간이 앞으로 갔다 뒤로 갔다 하는 소설이다. 따라서 익숙해지지 않은 동안에는 포인트를 잡기가 까다롭지만, 한번 포인트를 잡고 나면 몸이 소설의 시간성에 자연스레 감응하여 술술 흥미롭게 읽을 수 있다. 읽은 맛이 나는 소설이다. 고어즈의 <하메트>는 그럴 법하다는 분위기가 잘 드러나 있어 재미는 있었지만, 실재하는 인물을 주인공으로 설정해 놓은 만큼, 짜임새가 훤히 들여다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비행기 안에서 독서벽이 붙어 버렸는지 귀국을 하고서도 일 사이 사이 시간만 생기면 핀천의 <경매 넘버 49 외침>을 읽었다. 지금껏 몇 번이나 영어로 읽어 보려고 시도하다 좌절한 소설인지라, 번역본이 나와 준 것은 내게는 커다란 기쁨이었다. 물론 핀천의 소설이니까 술술 읽히는데다, 재미도 있고... 하는 식으로 수월치는 않지만, 이 정도로 우스꽝스런 소설도 흔치 않을테니, 관심 있는 분께선 꼭 읽어 보세요. 그 다음으로 존 어빙의 신작(여전히 무턱대고 긴 소설) 의 후반부를 완독. 이 소설에 대한 감상은 도저히 한마디로 요약할 수 없으므로 통과. 그리고는 스파게티 소설을 세 권. 크럼리의 <댄싱 베어>와 리차드 콘든의 <여자와 남자의 명예>(제목의 뜻은 불명)와 마이클·Z·류인의 <침묵의 세일즈맨>이다. 스파게티 소설이란 내가 만든 조어(造語)로, 스파게티를 삶으면서 읽기에 적합한 소설이라는 의미다. 물론 폄하하여 그렇게 부르는 것은 아니고, 스파게티를 삶으면서도 무심결에 손에 들고 마는 소설이란 뜻으로 해석해 주면 좋겠다. 세 권 중에서는 <여자와 남자의 명예>가 좀 얼빠진 듯한 맛이 있어 가장 재미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 다음으로는 읽어 보라는 권유를 받아 류탄지 유 전집을 세 권쯤 읽었다. 나는 일본 소설은 잘 읽지 않으므로 류탄지 유라고 하는 사람이 문학사적으로 어떤 위치에 있는가는 잘 모르지만, 전체적으로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고, 몇몇 마음에 드는 작품도 있었다. 그러나 모리타 요시미츠의 <그로부터>를 본 이후, 전전(戰前)의 일본 소설에 나오는 주인공은 모두들 마츠다 유사쿠처럼 느껴지고 만다. 책을 읽고 있으면 거의 자동적으로 마츠다 유사쿠의 얼굴이 떠오르는 것이다. 참으로 난처한 일이다. 영화는 무척 재미있었는데. 또 한 권, 저자인 스즈무라 카즈나리씨가 보내주신 <아직/이미·무라카미 하루키와 '하드보일드 원더랜드'>라는 책도 읽었는데, 이 책은 제목을 봐서도 알 수 있듯 나에 관한 평론을 엮은 책이므로 감상은 쓰지 않겠다. 자신에 대해 씌어진 글을 읽는다는 것은 웬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된 듯한 기분이 드는 일이다. 아마도 나와 무라카미 하루키라는 작가는 거울을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세계에 동시적으로 존재하는 모양이다. 그래서 나는 가끔 독자와 만나 얘기를 할 때마다, 늘 누군가를 대신하고 있는 기분이 들어마지 않는 것이다. 한편 우리 마누라는 그 상에 책을 세 권 읽었다. 앨리스 워커의 <컬러 퍼플>과 헨리에트·폴·씨라 하슈미트 (참 긴 이름이다)의 <히틀러를 둘러싼 여인들>과 키티 하트의 <아우슈비츠의 소녀>이다. 그녀가 대체 어떤 취향과 목적으로 책을 선택하는지 나는 아직껏 잘 모른다. 한마디로 부부라 해도, 그 사이에 가로 놓여져 있는 물길은 깊고도 어두운 모양이다. 그러나 어찌 됐든 내가 읽는 책의 영역과 마누라가 읽는 책의 영역은 거의 겹치는 일이 없으므로(고작해야 랩 크래프트 정도가 양쪽 영역에 다리를 걸치고 있다), 서로가 제멋대로 책을 사 들여 우리 집의 책은 늘어나기만 한다. 어떻게 좀 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지만, 분명 어떻게 안되리라.